정치 국회·정당

김문수 "계엄, 실행 전부터 여러 곳에서 많이 들었다"

이해람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2.19 11:50

수정 2025.02.19 11:50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1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2030·장년 모두 Win-Win하는 노동개혁' 대토론회을 마친 후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뉴스1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1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2030·장년 모두 Win-Win하는 노동개혁' 대토론회을 마친 후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뉴스1

[파이낸셜뉴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19일 12·3 비상계엄 선포 이전부터 여러 통로를 통해 계엄 선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많이 들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노동개혁 대토론회' 진행 도중에 기자들과 만나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하시기 전에 다른 여러 곳에서 계엄을 해야 한다는 말씀을 많이 들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장관은 계엄의 필요성을 주장한 인물을 밝히지는 않았다. 김 장관은 "군 출신이나 이런 분들이 계신다"면서도 "구체적으로 거명을 하라 그러면 거명하긴 (어렵다)"고 답했다.

이들이 계엄 선포를 주장한 이유에 대해서는 "부정선거를 보고도 왜 방치하느냐", "부정 비리를 보고도 방치하느냐, 이래서 되겠느냐", "답답하니 계엄밖에 더 있겠냐"며 "자기 나름대로 계획서가 있다는 사람들이 있었다"고 밝혔다.



다만 김 장관은 윤 대통령과 계엄 선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한 이들과의 연관성은 부정했다. 김 장관은 "대통령이 아니라 시중에 그런 (계엄을 주장하는) 분들이 있었다"고 했다.

김 장관은 이전부터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 직전에 해당 사실을 알고 있었다면 반대했을 것이라는 취지의 발언을 해왔다. 이번에도 "대통령께서 저에게 계엄을 말씀하셨으면 극구 만류하고 반대했을 것"이라고 전했다.


그 이유에 대해 김 장관은 "계엄을 하려면 첫째, 군을 완전하게 장악해야 한다. 둘째, 군이 계엄을 했을 때 호응하는 국민들이 있어야 한다"면서 "군 장악이라는 것이 옛날처럼 되지도 않고 국민들이 쉽게 그 외에도 많은 방법이 있는데 왜 계엄을 하냐며 호응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장관은 '군을 장악할 수 있었다면 찬성할 거란 얘기냐'는 질문에 "그런 얘기는 아니다"며 부정했다.

haeram@fnnews.com 이해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