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행정·지자체

공공데이터포털 개방 데이터 10만 건 돌파...‘AI 공공데이터’ 개방 확대

김태경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2.19 12:00

수정 2025.02.19 12:00

지적도, 대기오염정보, 자동차 종합정보 등 최다 활용
포털에 공공기관 국회 등 1100여개 기관 데이터 제공
[파이낸셜뉴스]
제공=행정안전부
제공=행정안전부

2013년 문을 연 공공데이터포털에 개방된 공공데이터 목록이 10만 2000건을 돌파했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2013년 공공데이터포털 개시 당시 개방 건수는 5000여 건이었으나, 각 기관의 적극적인 데이터 개방 노력으로 12년 만에 개방 건수가 20배 증가해 개방 건수 10만 건을 넘어섰다고 19일 밝혔다.

포털을 통해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국회 등 1100여 개 기관이 국민 생활과 밀접한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를 제공 중이다.

가장 많이 활용된 데이터는 연속지적도, 환율 정보, 대기오염정보, 시군구 정보, 단기예보, 특일 정보*, 자동차 종합정보, 교통CCTV 등이다.

이중 특일 정보는 국경일정보, 공휴일정보, 기념일정보, 24절기 등과 관련된 정보다.

가장 많이 개방된 분야는 공공행정(14.9%), 문화관광(12.1%), 산업고용(9.3%), 교통물류(8.3%), 환경기상(7.8%) 순이다.



포털에 개방된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만들어진 모바일 앱·웹 서비스는 총 3131개로 해마다 200~300개씩 증가하고 있다.

행안부는 데이터 개방을 확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형식을 개선하고 개방 방식을 다양화했다.

특정 소프트웨어에 제한되지 않고 기계판독이 가능한 ‘오픈포맷 데이터(확장자 CSV, XML등)’ 비중은 초기에 8.7%에서 현재 98.6%로 크게 늘었다.

실시간 정보 제공과 활용 편의성 제고를 위해 ‘오픈API’ 제공 방식을 확대했고, 민감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도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진위확인 서비스’, ‘재현데이터’ 등의 개방 방식도 도입했다.

행안부는 공공데이터법이 제정된 2013년부터 각 기관의 데이터 개방을 촉진하기 위해 범정부 계획 수립과 이행 지원·관리, 공공데이터 품질 제고 등 많은 노력을 해왔다고 설명했다.

행안부는 AI시대 수요를 충족하는 데이터와 기관 핵심데이터를 개방하는 등 질적 측면의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을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AI 서비스 개발에 적합한 양질의 공공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AI 친화적인 공공데이터 개방과 활용 환경 조성에 주력한다.

AI 서비스 개발의 수요가 높은 분야에 대해 그간 개방이 미진했던 비정형데이터를 AI 학습에 적합한 형태로 범용성 있게 정제·가공해 AI 학습용 공공데이터로 본격적으로 개방할 예정이다.


행안부는 공공데이터포털 고도화 사업 추진과 공공데이터법 개정을 통해 양질의 공공데이터 개방 환경을 위한 법·제도적 기반도 정비 중이다.

ktitk@fnnews.com 김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