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한상희 박기현 기자 =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19일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 조사에서 '범보수 1위'로 거론되는 것에 대해 "대한민국이 매우 불행하게 될 수 있다는 걱정과 우려가 반영돼서 여론조사가 높게 나오는 것 같아 너무 무겁고 가슴 아픈 일"이라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 주최 '노동개혁 대토론회'에 참석한 이후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답했다.
그는 조기 대선 출마 여부에 있어서는 "말씀드릴 게 아닌 것 같다"면서도 "삶의 사명으로서 모든 것을 다해 약자를 보살피는 것이 공직자의 첫 번째 직분"이라고 강조했다.
사실상 대권 도전 가능성을 열어둔 발언으로 해석된다.
김 장관은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을 진행 중인 헌법재판소에 대해서는 "보다 공정하게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재판 절차 진행이나 결론을 내려주기를 간절하게 기도드리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대통령을 파면하는데 만장일치로 파면한다는 것을 박근혜 대통령 때 봤다"며 "정말 잘못됐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국민들의 직접민주주의에 대한 열망과 국민 직선제로 뽑은 사랑과 충성에 대해 너무 가볍게 본다"고 지적했다.
김 장관은 야권 유력 대선주자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물음에는 "진실한 사람이어야만, 청렴한 사람이어야만 공직을 맡을 수 있다"며 에둘러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를 꼬집었다. 그는 "공직자가 깨끗하지 않으면 온 나라가 더러워진다. 국민들이 살 수 없는 나라가 된다"고 했다.
김 장관은 아울러 이 대표가 반도체 특별법의 '주 52시간 근무제 예외' 조항에 대해 전향적인 입장을 밝혔다가 다시 기존 입장으로 회귀한 것에 대해 "이것도 안 하면서 '먹사니즘'을 말한다. 이것도 안 하는 사람들이 '잘사니즘'을 말할 수 있나. 거짓말이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한편 김 장관은 윤 대통령의 '12 ·3 비상계엄'과 관련 "대통령이 답답하시니 계엄이라도 해야 하는 것 아니냐", "계엄으로 일거에 해결할 수 있지 않겠느냐" 등의 발언을 군 출신 등 여러 인사로부터 미리 말을 많이 들었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제게 (계엄을) 제안한 사람들에게 '절대로 그런 말을 꺼내지도 말라'고 단호하게 거부, 반대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계엄을 하려면 군을 완전히 장악해야 하고, 계엄을 선포했을 때 호응하는 국민들이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장관은 다만 '계엄의 위헌성'에 대해서는 "헌법에 (대통령이) 계엄권을 갖고 있기 때문에, 대통령이 계엄을 하는 건 위헌이 아니다"며 "적합한 계엄은 위헌이 아니며, 적합했느냐 안 했느냐는 (사법부에서 판단할 문제)"라고 밝혔다.
그는 '부정선거 의혹'과 관련해서는 "어떤 민원인이 말도 안 된다고 생각하는 민원을 계속 제기해도 항상 친절하게, 항상 충분하게 납득할 때까지 답을 해드리는 게 공직자의 기본"이라며 "이런 점에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소홀했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