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무탄소 전원으로 AI시대 대비"…국회 문턱 넘은 11차 전기본

뉴스1

입력 2025.02.19 12:34

수정 2025.02.19 12:34

산업통상자원부 ⓒ News1 김기남 기자
산업통상자원부 ⓒ News1 김기남 기자


(세종=뉴스1) 나혜윤 기자 = 대형 원전 2기와 소형모듈원전(SMR) 1기 신규 건설을 주축으로 '무탄소 에너지' 비중을 2038년까지 70%로 확대하는 내용의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이 19일 국회 상임위원회 보고를 마치면서 사실상 확정 단계에 접어들었다.

여야 간 쟁점이던 대형 원전 신규 건설은 정부가 당초 3기→2기로 줄이는 수정안을 제출하면서 국회 보고가 완료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제11차 전기본을 보고했다. 전기본은 정부가 전력수급 안정을 위해 2년마다 전력 수요를 예측하고 그에 따라 전력 설비와 전원 구성(에너지 믹스)을 설계하는 15년 단위의 중장기 계획이다.

제11차 전기본은 반도체 등 첨단산업 발전,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건설과 같은 요인으로 전력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해, 무탄소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

전기본 초안은 지난해 5월 공개돼 9월 공청회까지 마쳤으나 정치적 갈등과 야당의 신규 원전 반대, 12월의 탄핵 정국 등으로 지연됐다.

정부는 3기의 신규 대형 원전 건설을 2기로 줄이고, 태양광 발전을 확대하는 수정안을 마련하며 야당을 설득, 이날 국회 보고를 완료했다. 당초 정부 실무안에는 2038년까지 추가로 필요한 발전설비 10.6GW(기가와트) 중 4.4GW를 신규 원전 3기 추가 건설로 충당하는 방안이 담겼었다.

정부가 최종 제시한 수정안에는 2038년까지 태양광 발전 설비용량 2.4GW를 추가로 확대하고, 대형 신규원전을 1기 줄인 2기로 반영했다. 원전 비중은 35.6%에서 35.1%로 0.5%포인트(p) 조정했다. 재생에너지는 기존 204.4TWh(29.1%)에서 206.2TWh(29.2%)로 1.8TWh(0.1%p) 늘었다.

안덕근 장관은 이날 국회보고에서 전력수요가 연평균 1.8%씩 증가해 2038년에는 129.3GW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수요관리는 사후 측정과 검증 가능성에 중점을 두고 2038년 16.3GW를 목표로 설정했다고 밝혔다.

안 장관은 2038년까지 10.3GW의 발전설비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고, 신규 원전 건설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안 장관은 "수요 전망과 설비 예비율을 보류할 때 2038년까지 필요한 목표설비에 대해 이미 계획된 확정설비가 부족할 것으로 예상돼 앞으로 신규 발전설비의 건설이 필요하다"면서 "특히 신재생에너지를 최대한 보급하고도 추가적인 발전설비의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검토됐다"고 설명했다.

2038년까지 국내에서 만들어지는 전기의 70% 이상을 '무탄소전원(CFE)'으로 채운다는 목표 설정은 원안 그대로 담겼다. 이 방안이 확정되면 무탄소 전원 비중은 2023년 39.1%에서 2030년 53.0%, 2038년 70.7%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원전과 재생에너지 비중은 각각 31.8%, 18.8%를 기록한 후 2038년 35.2%, 29.2%로 증가한다. 증가율로만 보면 재생에너지 확대 폭이 크다.

이에 따라 안 장관은 에너지 저장장치 확보가 필요하다고 밝히면서 2038년까지 필요한 ESS 용량은 약 23GW로 전망했다. 산업부는 배터리 ESS와 양수발전으로 나눠 이를 확보할 예정이다.


11차 전기본이 이날 국회 보고를 마치면서, 전력정책심의회 심의·확정 및 공고 절차만을 남겨뒀다. 산업부는 21일 전력정책심의회의를 소집해 전기본을 확정할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전기본이 확정되는 대로 장기송변전설비계획 등을 수립하고, 연내에 용량시장 개설 ESS 사업자 선정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