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판교 찾아 현장간담회
"수백조 투자도 새롭지 않다…파격 지원해야"
"주52시간 예외 뺀 반도체법, 탁상공론"
"美中, 현장목소리 반영해 탄력적 근무환경 보장"
"野, 주52시간 예외 포함한 원안 처리 협력하라"
"수백조 투자도 새롭지 않다…파격 지원해야"
"주52시간 예외 뺀 반도체법, 탁상공론"
"美中, 현장목소리 반영해 탄력적 근무환경 보장"
"野, 주52시간 예외 포함한 원안 처리 협력하라"

여당은 특히 트럼프 2기 정부를 맞아 격화되는 미중 패권다툼과 우리의 주력 수출품목인 반도체와 자동차에 관세 부과 가능성이 있는 만큼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라도 반도체업계에 주52시간 예외를 적용시켜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경기 성남시에 위치한 텔레칩스 판교사옥을 찾아 '반도체 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현장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방침을 다시 한 번 거론했다. 이날 현장 간담회에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대기업을 비롯해 강소기업, 팹리스(팹리스),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 관계자들이 함께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반도체특별법에 담긴) 재정 지원과 인프라 구축도 당연히 필요하지만, 핵심은 우수한 인재를 길러내고 그들이 역량을 펼칠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근로시간 특례 조항이 꼭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국 정보·기술(IT) 업계의 '9·9·6 문화(오전 9부터 오후 9시까지 주 6일 근무)', 미국 엔비디아의 고강도 근무 문화 등을 언급한 권 원내대표는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탄력적인 근무 환경을 보장한 것"이라며 "그런데 더불어민주당은 주 52시간 예외 조항을 뺀 반도체법을 주장하고 있다. 글로벌 상황도 모르고, 현장의 목소리도 듣지 않는 탁상공론"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쉬운 것만 통과시키자는 입법 편의주의를 고집할 때가 아니다"라며 "이재명 민주당 대표도 국회에서 형식적인 토론회를 할 것이 아니라, 현장의 절박한 목소리를 직접 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여당 지도부는 글로벌 반도체시장을 '국가간 총성없는 전쟁'이라고 규정한 뒤 반도체특별법이 2월 중 반드시 원안 통과될 수 있도록 야당의 초당적 협력을 거듭 촉구했다.
권 원내대표는 업계 관계자들과 비공개 간담회 이후에도 기자들과 만나 "(업계가) 굉장히 위기감을 많이 느끼고 있다"며 "여기서 다시 한 번 일어서지 않으면 반도체 강국으로서의 대한민국 위상은 잃어버릴 수가 있다. 잃어버릴 경우 국가적으로도 손해"라고 전하면서 자율성 등을 보장하는 고임금 연구·개발(R&D) 인력에 대한 주 52시간제 예외 조항 필요성을 재차 당부했다. 이날 반도체 업계 방문은 20일 여야정 국정협의체 재가동을 앞두고 트럼프 쓰나미에 대비해 주52시간 예외 적용이 시급하다는 업계의 애로사항을 고리로 야권을 압박하기 위한 행보다. 다만 야당은 여야간 이견을 좁힌 재정 지원 등 분야라도 먼저 처리하고, 민감한 근로시간 논의는 추후 논의하자는 입장이다.
jhyuk@fnnews.com 김준혁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