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광주시 민·관 '일상의 협치로 민주주의 구현'

뉴스1

입력 2025.02.19 16:37

수정 2025.02.19 16:37

강기정 광주시장이 19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2025년 제1차 민관협치협의회 회의에 참석해 위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광주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2025.2.19/뉴스1
강기정 광주시장이 19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2025년 제1차 민관협치협의회 회의에 참석해 위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광주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2025.2.19/뉴스1


(광주=뉴스1) 박준배 기자 = 광주지역 민·관이 '일상적 협치로 민주주의 광주 구현’에 나선다.

광주시 민관협치협의회는 19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올해 첫 회의를 열고 지난해 운영 성과와 제2차 민관협치 활성화 기본계획, 올해 운영 계획을 논의했다.

공동의장인 강기정 광주시장과 정영일 광주 NGO시민재단 이사장을 비롯한 협의회 위원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협의회 참석자들은 '2024년 운영 성과'와 '제2차 민관협치 활성화 기본계획'을 공유했다.

지난해 성과로 '발굴된 의제가 정책화되지 못한다'는 지적을 해결하기 위해 추진한 '민관협치 공동프로젝트'를 꼽았다.



협의회는 발굴된 15개 정책에 관해 토론을 거쳐 이 중 5개를 선정해 정책화·사업화하는데 성공했다. 대표적으로 청년인구 유입 확대를 위한 '광주 3일 살기 프로젝트'와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JOB 페스티벌'이다.

민관협치 공동프로젝트는 올해도 지속 추진한다. 6월까지 각 분과위에서 정책을 발굴하고, 7월 워크숍을 열어 협치 사업을 확정한다.

제2차 기본계획(2025~2027년)은 '일상적 소통이 있는 협치로 민주주의 광주 구현'을 비전으로 5대 핵심과제, 15개 세부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5대 핵심과제는 △협치 제도 개선과 민관협치협의회 강화 △민관협치 의제 발굴과 실천 △광주 협치 역량 강화 △광주 협치플랫폼 활성화 △광주 민관협치 모델 브랜드화 등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민관협치 운영의 효율화를 위해 9개 분과위원회를 11개로 세분화하기로 했다.
분과위는 '민주인권이주민'이 '민주 인권'과 '이주민'으로, '사회적경제노동'이 '사회적경제'와 '노동'으로 분리돼 총 11개 분과위원회로 운영된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민관협치협의회는 민과 관이 만나는 공식적이고 실질적인 협력의 구심체"라며 "민관 공동프로젝트 등 더 많은 사람들의 더 다양한 의견을 정책에 반영해 나날이 진화하는 민관협치협의회로 발전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영일 이사장은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해 노력한 제2기 협의회 위원 모두 수고했다"며 "협의회에 힘을 실어주고 실질적 협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협력과 변화를 이끌어 가고 있는 광주시에도 격려의 박수를 보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