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김근욱 기자 = 금융감독원이 올해부터 네이버파이낸셜, 카카오페이, 비바리퍼블리카(토스) 등 '빅테크'(대형 전자금융업자) 기업에 대해서도 정기 검사에 나선다. 지난해 '티메프 사태'를 야기했던 정산대금 관리체계 등이 중점 검사 대상이다.
금감원은 19일 '2025년도 검사업무 운영계획'을 통해 "최근 시장 영향력이 커진 빅테크사, 온라인 플랫폼 판매 채널, 가상자산사업자에 대한 점검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금감원은 최근 금융환경이 변화하면서 '신규 리스크'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며, 특히 빅테크 기업 대상의 정기 검사 실시를 예고했다.
대표적인 대형 전자금융업자로는 네이버파이낸셜과 카카오페이, 비바리퍼블리카(토스) 등이 있다.
금감원은 △대고객 서비스 장애 대응체계 △지급결제대행업무(PG) 관련 정산대금 관리체계 △비금융 계열사로부터의 전이위험 관리실태 등이 점검 대상이라고 짚었다.
지난해 금융권 화두가 된 '금융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선제적 대응 계획을 수립했다. 특히 손익 변동폭이 큰 고위험 상품의 쏠림 현상을 모니터링해 특이사항이 감지되면 집중 점검하기로 했다.
금융권 전반에 만연한 '단기 실적' 위주의 무책임한 경영문화 관련 단속도 강화한다.
아울러 시장질서 확립을 목표로 대규모 불완전판매, 보험금 지급거절 등 소비자 이익 침해 행위에는 엄중 대응하기로 했다.
금감원은 올해 정기검사 29회, 수시검사 709회 등 738회의 검사를 실시하기로 계획을 세웠다. 지난해 대비 정기검사 6회, 수시검사 53회 증가한 수치다.
금감원은 검사 횟수를 확대하면서도, 검사에 투입되는 연 인원은 전년 대비 3.6% 줄여 효율성을 높일 방침이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