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뉴스1) 김기태 기자 = 지역 예술인 등용문 역할을 해온 ‘대전미술대전’이 대전시립미술관의 대관 취소 통보로 무산될 위기에 놓였다.
대전미술협회는 지난해 11월 4일 대전시립미술관에서 제37회 대전미술대전 대관 허가 통보를 받았지만 며칠 후 돌연 취소 통보를 받았다.
허가 통지 후 대전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대전시립미술관의 대관 사업 형평성을 지적받은 미술관이 돌연 대관 취소 통보를 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이중호 대전시의원은 지난해 행정사무감사에서 “대전미술협회라는 특정 단체가 매년 대관을 독점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운영위원회가 13명 중 회의에 참석한 인원은 6명밖에 되지 않아 정족수를 충족하지 못한 상태에서 심의가 진행된 것은 재적 위원 과반수가 참석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반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운영위원회 회의에 이해충돌에 해당하는 위원들이 회의에 참여한 점"이 문제라고 꼬집었다.
대전미협은 같은달 25~29일 진행된 재공고에서도 탈락 통보를 받았다.
이에 대해 대전미협은 12월 17일 대전시립미술관에 대관 불가 심의에 대한 의견서를 보냈지만 대관 취소 통보를 번복할 수 없었다.
지역 미술계는 대전시립미술관 대관 취소로 37년이나 이어온 대전미술대전의 전국적 입지를 약화시켜 지역 작가와 미술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을 주장하며 반발하고 나섰다.
미술대전은 매년 1000여 명의 작가가 참여해 2000점 이상 작품이 출품되며, 신인 작가들의 초대작가 등용문의 기회가 주어지는 지역 최대 미술 축제다.
김인환 대전미술협회장은 "대전시립미술관이 일방적 취소 통보를 받고 미술대전 개최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라 당황스럽다"며 "미술대전은 특정단체 이익을 위한 행사가 아니라 공공적 가치를 가진 행사로 수 많은 지역 작가가 준비해 온 작품 발표의 기회를 박탈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대전시립미술관의 행정사무감사 지적사항 내용 중 '운영위원회 위촉위원은 미술분야에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과 그 밖에 미술관 운영에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람 중 위촉' 돼야 한다는 지적내용에 대해 "지역 미술 관련 교수들을 전문성이 없다고 평가하면 누가 전문성을 가지고 있냐?"며 "현실과 맞지 않는 지적내용"이라고 비판했다.
박종선 대전시의원은 "대전시립미술관이 대전미술대전 대관 취소는 잘못된 처사"라며 "행정사무감사에서 미술대전 문제를 지적해 대관 취소 사태를 만든 이중호 의원은 지역을 위해 어떤 의정을 펼쳐야 하는지 생각해 보라"며 이 의원을 저격했다.
한편 대전시립미술관 관계자는 미술대전 대관에 대한 질문에 "올해 미술관 대관이 완료돼 추가 공고를 내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