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왕우렁이 월동 피해 막자" 전남도, 논 깊이갈이 시연

뉴시스

입력 2025.02.19 17:19

수정 2025.02.19 17:19

"논 말리기 잘하면 개체수 줄어…농업인 교육·모니터링 강화"
*재판매 및 DB 금지
*재판매 및 DB 금지

[무안=뉴시스] 송창헌 기자 = 전남도가 왕우렁이 월동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월동작물 재배와 논 깊이갈이 등 논말리기에 온힘을 쏟고 있다.

20일 전남도에 따르면 도는 전날 농업인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지난해 피해가 발생한 해남 마산면 뜬섬 유기농단지(100㏊)에서 시연회를 열었다.

이날 시연회에선 친환경농업인, 농림축산식품부 관계 공무원 등 40명이 참석한 가운데 트랙터 15대를 동원해 일제 논깊이갈이가 진행됐다.

도는 지난 1월부터 해남 등 서남부 10개 시·군의 전체 친환경 벼 재배단지와 일반 벼 재배지역 중 피해가 우려되는 간척지 등 1만5943㏊를 관리 대상(지난해 피해면적보다 10배 증가)으로 정하고 피해 예방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 결과 18일 현재 관리 대상 면적의 80%에 해당하는 1만2768㏊(월동작물 재배 8774㏊·논 깊이갈이 3994㏊)에서 논 말리기를 실시했다.

도는 아직까지 논 깊이갈이를 실시하지 않은 3175㏊를 대상으로 오는 28일까지 100% 마무리되도록 현장 점검과 홍보를 강화할 방침이다.

3월부터는 농업인 교육과 월동 등 모니터링반(22명), 현장 메신저(100명) 운영을 본격 추진한다.


김영석 전남도 친환경농업과장은 "겨울철에 논 깊이갈이 등 논 말리기만 잘하면 개체수를 줄여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며 "간척지 등 물 빠짐이 좋지 않은 피해 우려 지역에서는 왕우렁이 피해와 병해충 예방을 위해 꼭 논 깊이갈이를 앞당겨 실시할 것"을 당부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goodchang@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