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개 은행장과 간담회
회장 거취 논란에 선 그어
내부통제 부실 수습 강조
회장 거취 논란에 선 그어
내부통제 부실 수습 강조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이 임기를 채워야 한다"며 임 회장의 거취 논란에 선을 그었다.
이 원장은 19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관에서 20개 은행장과 간담회를 가진 후 기자들과 만나 "우리은행 내에 현실적으로 파벌도 존재하고, 내부통제가 흐트러진 상황에서 임종룡 회장이 갑자기 빠지면 거버넌스 관련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금융당국 입장에서는 임 회장이 임기를 지키고, 거버넌스가 흔들리지 않는 게 좋겠다고 생각한다. 거꾸로 회장이나 행장 입장에서 보면 본인들의 직을 걸고 체질 개선 및 환골탈태를 이끌어야 하는 거 아니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앞서 금감원은 우리금융지주·은행 등에 대한 정기검사 결과를 밝히면서 임 회장이 취임한 뒤에도 상당 규모의 부당대출이 발생했음을 명시하는 등 현 경영진의 '책임론'을 부각시켜왔다.
다만, 우리금융의 경영실태평가는 이와 상관없이 엄정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우리금융의 거버넌스가 유지된 채 사태를 수습해야 한다는 당위성과 (우리금융이) 아무렇게나 해도 된다는 것과는 전혀 다른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경영실태평가 결과가 좋게 나온다고 해도 현 수준의 거버넌스나 관리 역량에서 이렇게 외연을 확장해도 되는지 통철한 점검이 필요할 것"이라며 "결과가 나쁘게 나온다면 더더욱 (외연 확장은) 어쩔 수 없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금감원의 경영실태평가 결과 3등급 이하로 나올 경우 우리금융이 의욕적으로 추진 중인 동양·ABL생명 인수·합병(M&A)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은행권에서 대형 금융사고가 되풀이되는 원인으로는 내부통제 부실과 함께 금융권 내 온정주의 문화를 꼽았다. 이 원장은 최근 대규모 부당대출 사고를 낸 IBK기업은행에 대해서도 "결국 '끼리끼리' 문화나 온정주의, 외연 확장주의에서 비롯됐다"며 "매우 심각해서 엄하게 보고 있고, 큰 책임을 물으려고 생각중"이라고 전했다.
은행권 최고경영자(CEO) 선임 과정 논란 등에 아쉬움을 표한 것과 관련해서는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의 임기 논란 등 특정 사안을 겨냥한 것은 아니라고 해명했다. 다만 "국민들에 '셀프 연임'으로 오해받을 수 있는 지점이나 '왜 불가피한 것인지' 등과 관련한 논의가 주주나 소비자들에게 공유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신한카드, KB국민카드 등이 애플페이 도입에 나서면서 삼성페이도 수수료를 부과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자체 시뮬레이션 결과 추가적인 수수료 부담이 소비자나 가맹점에 피해를 줄 정도가 아니라 카드사가 흡수할 수 있을 정도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은행장들은 지방 자금공급을 위해 추가 대출 한도를 부여하고 저신용자 대출 상품의 경우 가계대출 관리 대상에서 제외해달라는 내용의 건의사항을 전달했다.
이 원장은 "지방 부동산이나 지역 건설사 어려움과 관련해 수요 사이드에서 어떻게 조금 여유를 드릴 수 있는지, 공급 측면에서는 어떻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을 정상화할 수 있을지 등에 관해 이야기를 나눌 좋은 기회였다"고 말했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