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가 첫 임기 때 중국과 무역 합의를 도출할 당시 도왔던 중국 전문가 마이클 필스버리는 "몇 달 전 트럼프가 '양쪽의 이익에 부합하는' 무역 협정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체결하고 싶다고 내게 말했다"고 전했다.
필스버리에 따르면 트럼프 팀은 이미 협상을 둘러싼 세세한 부분들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 미국 측에서 누가 협상을 주도할지, 2020년 무역 합의 당시 중국이 준수하지 않은 부분에 어떤 것이 있는지 등을 협의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미국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중국 담당 보좌관을 지낸 매튜 터핀도 트럼프가 중국과의 새 협정을 찾아나선 것이 전혀 놀랍지 않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아직 요구사항을 구체화한 건 아니라면서도 이들이 2020년 중국과 맺었던 1단계 무역 합의와 관련해 주요 문제 제기를 할 것으로 내다봤다. 트럼프와 그의 측근들은 중국이 당시의 합의 사항을 이행하지 않았다고 비난해왔다. 중국은 코로나19로 이행이 불가능했다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트럼프는 취임 첫날이던 지난달 20일, 1단계 무역 합의와 관련된 중국의 미이행 사항을 찾아내고 추가 관세·벌칙 부과 여부를 4월까지 결정하도록 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복수의 소식통은 실질적으로 협상을 이끌게 될 가능성이 있는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과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이 '무역 불균형'을 개선할 수 있는 제안을 검토 중이라고 귀띔했다.
제안에는 중국의 △대미 투자 확대 △미국산 농산물·물품 대량 구매 △제조업 공급 과잉에 대한 개선 조치 등이 요구사항으로 담길 것으로 알려졌다. 농산품 대량 구매 등은 중국이 앞서 2020년 합의에서 준수하기로 했으나 이후 이행률이 저조하다고 지적받은 대표적 사안이다.
베센트와 가까운 한 소식통은 "베센트는 새로운 요구 조건이 아니라 2020년 당시 합의사항을 중국이 제대로 이행하도록 유도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중국은 2020년 합의 당시 미국산 농산품 대량 구매 외에도 특정 시장의 대외 개방, 산업 기술 보호 강화 조치 등을 약속했었다. 당시 합의는 트럼프가 중국에 25%, 2500억 달러 수준의 관세를 부과하는 등 양국이 17개월에 걸친 '무역 전쟁'을 벌인 끝에 극적으로 타결됐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