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뉴스1) 오미란 기자 = 제주국제공항 앞에 대규모 숲을 조성하려는 제주도의 계획을 두고 조류충돌 사고 위험성에 대한 우려가 제주도의회에서 제기됐다.
양경호 의원(더불어민주당·제주시 노형동 갑)은 20일 열린 제435회 도의회 임시회 환경도시위원회 제2차 회의에서 이 문제를 도마 위에 올렸다.
양 의원 등에 따르면 최근 도는 이음·재생·동행이라는 3대 핵심 전략을 중심으로 한 '제주숲 공간혁신 시즌2' 구상안을 수립했다.
기존 도시숲과 공원의 관광자원화에 초점을 맞춘 재생 전략에는 사업비 125억원을 들여 내년까지 공항로와 서부공원을 잇는 '제주맞이 숲'을 조성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숲 면적은 축구장(7140㎡·국제 규격) 28개와 맞먹는 20㏊다.
문제는 이 숲이 제주국제공항 활주로로부터 약 1㎞ 거리에 조성된다는 점이다.
양 의원은 "2019년부터 지난해 8월까지 제주공항에서는 총 81건의 조류충돌이 발생했다. 연 평균 20건꼴"이라며 "공항 이착륙 지점이나 활주로 인접 지점에 숲이 조성된다면 조류충돌 사고 위험성이 더 높아지지 않겠느냐"고 따져 물었다.
그는 이어 "최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조류충돌 사고에 대한 우려가 많고, 공항공사도 조류 서식환경 관리에 여러 노력을 많이 기울이고 있는데 이 시기에 당장 이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느냐"고도 했다.
이에 강애숙 도 기후환경국장은 "숲 조성은 빠르면 빠를 수록 좋다"면서 "지난달 21일 공항 관계자, 조류 전문가와 함께 현장을 확인한 결과 숲 조성으로 조류충돌 사고 위험성이 높아진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는 데 의견이 모였다"고 했다.
강 국장은 "물론 안전보다 우선인 것은 없다"면서 "국토교통부가 전국 공항을 대상으로 마련하고 있는 조류충돌 관련 대책을 살피면서 전문가들과 충분히 검토한 뒤에 사업을 추진하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