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호 시장, 긴급기자회견 열고 반발
"대단히 유감…이해도, 인정도 못한다"
![[안양=뉴시스] 박석희 기자 = 경부선 철도 지하화 선도사업 미선정과 관련해 최대호 안양사장이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2025.02.20. phe@newsis.com](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2/20/202502201611377008_l.jpg)
[안양=뉴시스] 박석희 기자 = "충격이고 대단히 유감스럽다."
경기 안양시가 정부의 철도 지하화 1차 발표에서 빠지자 최대호 시장이 20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안양 시민들의 14년 염원을 짓밟는 처사"라며 반발했다.
최 시장은 이날 오후 시청 상황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어제 국토교통부(국토부)가 발표한 철도 지하화 선도 사업 선정대상지에서 관내를 통과하는 경부선 철도 지하화 사업이 빠진 것은 한마디로 충격"이라며 "대단히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최 시장은 "14년간 시민들의 노력이 무너지는 느낌을 받았다"며 "경부선 철도 지하화 사업이 이번 발표에서 배제된 것은 이해할 수도 인정할 수도 없다. 당국에 다시 한번 숙고해 달라"고 촉구했다.
그는 "경부선 지하화가 이번 선도 사업 선정에서 빠졌지만 안양시는 멈추지 않고 계속 추진하겠다"며 "철도로 단절된 안양시를 하나로 통합하고 미래세대에 더 나은 안양을 물러주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안양시는 2010년부터 경부선 철도 지하화를 지역의 성장을 이끌 역점사업으로 추진했다. 도심을 분절해 지역의 성장과 발전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물로 분석했다.
또 서울 지역 대표 명소인 총 6.3㎞ 거리 선형 공원 '경의선숲길' 사례처럼 안양권 철로를 지하화해 지역 성장을 견인하고 도심에 대변화를 일으킬 계획이었다.
이 같은 구상을 실현하기 위해 최 시장은 2012년 전국 최초로 경부선 국철 지하화 사업을 제안했다. 이 제안으로 서울 용산구와 동작구, 영등포구, 구로구, 금천구 및 군포시 등 7개 지자체와 공동 협약을 체결했다.
당시 7개 지자체 103만여명이 서명운동에 참여해 경부선 지하화의 동력을 마련하기도 했다. 2014년에는 지하화 기본구상 용역을 마무리한 가운데 10여년만에 철도 지하화 사업을 끌어내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이런 가운데 국토부는 전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민생 경제점검회의에서 개발사업을 확대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겠다며 부산·대전·안산을 철도 지하화 선도 사업 대상지로 발표했다. 안양시 등 서울 구간은 제외됐다.
국토부는 철도 지하화 선도 사업지로 선정한 3개 지역의 경우 시행착오를 겪더라도 무리가 없는 적정한 규모이고 재원이 부족할 경우 지자체가 보조하겠다는 약속을 받은 곳이라고 설명했다.
철도 지하화는 특별법에 따라 정부 재정 지원 없이 철도 상부와 주변 부지를 통합 개발해 발생하는 이익으로 비용을 충당한다. 상부 개발은 지자체가 담당하기 때문에 국토부는 지자체의 재원 마련 계획과 부담 의지를 주요하게 평가했다.
안산시의 경우 지하화를 위해 인근 시유지를 내놓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토부는 수도권 경부선·경인선·경원선 구간은 지자체와 추가 협의를 거쳐 지하화 추진 방안을 발표할 방침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phe@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