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뉴스1) 김동규 기자 = 전북자치도의회는 20일 인구감소·지방소멸 극복 특별위원회가 세미나실에서 ‘전북자치도 청년인구 유출 원인과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정책 토론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이국용 군산대 교수가 발제하고, 전용태 위원장이 좌장을 맡았다. 이어 특위 위원인 염영선·권요안·김성수·오은미·윤정훈·임종명 의원들이 이정우 전북자치도 인구청년정책과장 등과 대응 방안에 관해 토론했다.
2014년 187만2000명의 전북 인구는 2024년 173만9000명으로 13만3000명, 7.1% 감소했다.
같은 기간 18~39세 청년인구는 51만 명에서 38만6000명으로 12만4000명, 24.4% 감소하는 등 청년 인구의 감소 규모와 속도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국용 교수는 “18~39세 청년인구가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2013~2023년 전국 전출 사유는 직업 35.95%, 가족 30.29%, 주택 18.94%, 교육 4.73% 순이며 2001~2023년 유출 지역은 경기, 서울, 충남, 광주, 전남, 대전, 인천 순으로 나타났다”며 “좋은 일자리가 있는 지역으로 이탈 가속화가 예상된다. 질적 차이 해소와 고교-대학-일자리의 연계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용태 특위 위원장은 “2017년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 2018년 한국GM 군산공장 폐쇄로 그 해부터 전북 인구 185만 명이 붕괴했다”면서 “일자리의 양과 질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전북도정이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청년인구의 급격한 유출이 지방소멸 가속화로 이어지고 있다”라며 “주요 원인인 일자리의 질을 제고하고 고교-대학-일자리 연계 방안과 관련된 후속 연구 추진, 제도 및 정책 마련 등이 신속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주문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