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4회 서민금융포럼
금융위 권대영 사무처장 강조
"민생범죄 대응 시스템 개발해야"
금융위 권대영 사무처장 강조
"민생범죄 대응 시스템 개발해야"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은 파이낸셜뉴스가 2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주최한 '제14회 서민금융포럼 및 서민금융대상'에서 "궁극적으로 저신용·저소득층 등 금융소외계층을 제도권 금융으로 적극 포섭해 나갈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불법 사금융이나 보이스피싱 등 민생범죄가 확대되는 데 대한 금융권의 시스템 개발 필요성도 강조했다. 권 사무처장은 "이런 노력으로 금융권 비즈니스 대상이 확대되고, 대한민국도 지속가능한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권 사무처장은 "고금리·경기침체 장기화로 가장 어려운 시기를 지나고 있다"며 "금융 접근성과 불법 사금융이 매우 심각해지고 있는 만큼 정부와 민간이 총력 대응해야 할 때"라고 짚었다.
권 사무처장은 "정부의 역할만으로는 부족하다"며 "인터넷전문은행들의 중저신용자 대출, 중금리 대출, 금융권의 자체적인 저신용자 대출을 통해 민간금융회사의 서민금융 공급을 활성화해 달라"고 당부했다.
빚을 갚지 못해 채무조정을 신청하는 취약계층이 급증하고 있는 데 대한 금융권의 적극적인 역할도 주문했다. 권 사무처장은 "신용회복위원회나 법원을 통한 채무조정 건수가 많아졌다"며 "이들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금융권은 취약차주가 연체로 전이되거나 장기연체로 악화되지 않도록 연체 전 단계의 선제적인 채무조정을 더욱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재연 서민금융진흥원장은 "정책서민금융과 민간금융회사가 역할분담을 통해 서민금융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경제적 자립을 도울 때 서민들이 '지원대상'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제도권 금융의 '고객'으로 성장하는, 서민금융의 선순환이 일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짚었다.
이 원장은 서민의 금융접근성 문제에 대해 "물리적 거리나 서비스의 편의성을 개선하는 것뿐만 아니라 신용과 소득이 낮다는 이유로 제도권 금융회사의 다양한 서비스에서 소외되고 있지는 않은지 살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민간금융회사가 대출심사 및 사후관리 역량을 강화해 상환능력이 상대적으로 우량한 저신용·저소득자에 대한 서민금융을 적극 담당한다면 서금원은 한정된 재원을 이용해 민간금융회사가 담당하지 못하는 영역에 대한 금융서비스 지원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특별취재팀 서혜진 팀장 예병정 박소현 차장 김동찬 박문수 이주미 김예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