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속한 고령화 속 ‘경도 인지장애’ 환자 급증세
매년 10~15% 치매로 악화…조기진단·치료가 답
약물 치료·생활습관 개선하면 치매 진행 늦춰져
매년 10~15% 치매로 악화…조기진단·치료가 답
약물 치료·생활습관 개선하면 치매 진행 늦춰져

[파이낸셜뉴스]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치매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관련 통계에 따르면 2024년 기준 국내 65세 이상 인구 중 치매 환자 수는 100만 명을 뛰어 넘어 105만여 명(10명 중 1명)으로 추정된다.
치매로 인한 사망률(10만 명당 사망인원)도 2013년 17.0명에서 2023년 27.9명으로 급증했다. 특히 치매의 가장 흔한 원인인 알츠하이머병은 국내 10대 사망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중요 치료대상은
최근 치매와 관련해 두드러진 현상은 경도(경미한) 인지장애 환자가 크게 늘고 있다는 사실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경도 인지장애로 진료받은 환자 수는 2013년 8만5140명에서 2023년 32만4900여명으로 10년새 약 4배 늘었다. 인지기능 장애의 주요 증상에는 기억력 저하, 집중력 저하, 언어능력 저하 등이 있다.
장준호 과장은 “경도 인지장애 환자들을 추적 관찰하면 매년 10~15%가 치매로 악화되는데, 이는 일반적인 65세 이상 인구의 치매 발생률보다 훨씬 높은 수치이다”고 말했다.
경도 인지장애의 발생원인은 다양하다. 이 때문에 전문적인 진찰과 검사가 필요하다. 장 과장은 “조기진단을 통해 적절하게 치료하면 인지기능 장애가 회복되는 경우도 많다”고 설명한다. 또, 알츠하이머병의 개념이 정상적 인지기능을 가진 사람으로까지 확대되면서 경도 인지장애는 중요 치료대상이자 적절한 치료단계가 되고 있다.
■진단은 어떻게
경도 인지장애 진단을 위해서는 우선 환자와 보호자로부터 병력을 청취하고, 인지기능 선별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그 후 좀 더 자세한 평가를 위해 신경인지 검사를 시행하고, 인지기능 장애로 일상 생활능력에 어느 정도 불편이 있는지 설문을 통해 평가한다.
신경인지 검사에서 인지기능 저하가 확인되면, 원인 질환을 판별하기 위해 혈액검사를 시행하고, 필요하면 MRI 및 PET 영상 촬영으로 뇌의 구조 및 기능 상태 등을 검사한다.
■치료 및 예방
경도 인지장애로 진단됐다고 해서 반드시 치매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빠른 시기에 관리와 치료를 시작하면 뇌 기능이 더 이상 나빠지는 것을 늦추거나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증상이 의심되거나 뚜렷하면 전문의 진료를 받고, 필요하면 약물치료를 병행해야 한다. 운동 및 인지재활 등 비약물적 치료법을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치매로 진행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생활습관 개선이 중요하다. 규칙적인 운동은 뇌혈류 증가와 스트레스 감소 등으로 인지기능 저하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 적극적인 사회활동, 퍼즐 맞추기 같은 두뇌활동도 효과적이다. 아울러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고, 고혈압 당뇨병 등의 만성 질환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센텀종합병원 장준호 과장은 “경도 인지장애는 치매로 진행될 수 있는 중요한 단계이므로, 조기 진단과 관리를 통해 치매 발병 위험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의심되는 증상이 있다면 전문의와 상담해서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기 바란다”고 조언했다.
paksunbi@fnnews.com 박재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