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지훈 선임기자 = 고용부터 수출, 물가, 성장률, 체감지표까지 쏟아지는 대부분의 경제지표가 악화일로다. 호전되는 분야를 찾아보기 어렵고 나빠진 지표의 의미를 일일이 챙겨보기도 힘든 수준이다. 경제 뉴스에서 발표되는 지표가 좋아질 땐 딴 세상 얘기인 듯싶더니 반대로 가라앉는 지표들은 공감 백배다. 국내만 어지러운 게 아니라 나라 밖에서도 저래도 되나 싶은 미국발 뉴스가 하루가 멀다하고 들려오니 살기 힘든 서민들의 팍팍한 마음은 기댈 곳이 없다.

희망찬 새해가 밝았거늘 첫 달부터 수출이 10% 넘게 줄었고 청년층 취업자는 4년 만에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
악재는 국내에만 그치지 않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쏟아내는 관세 폭탄의 영향권에서 한국도 벗어나기 어려울 전망이다. 우리의 주력 대미 수출 품목인 자동차와 반도체에 대해 한 달내로 25% 이상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기 때문이다. 트럼프는 비관세 장벽까지 고려한 상호관세 부과도 예고했는데 이로 인해 우리 국내총생산(GDP)이 0.2% 줄어들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 미국은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를 외치며 동맹·비동맹 가리지 않고 '팔 비틀기'에 나서고 각국은 이에 대응코자 발 빠르게 움직이는데 정치 혼란에 빠진 한국은 기껏해야 민간사절단에 기대를 걸고 있는 형국이다.

그러니 성과 없이 끝난 여야정 국정협의회에 대한 아쉬움이 더욱 클 수밖에 없다. 추가경정예산(추경)과 반도체 특별법의 '주 52시간 근로 특례', 연금개혁 등의 현안에서 여야가 쟁점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한 채 공방만 벌이다 빈손으로 끝난 것이다. 얼어붙는 경기와 추락하는 민생에 대한 절박함이 있는지 의심을 불러일으킨다. 탄핵 심판 사건이 종반전으로 갈수록 온 국민의 관심이 쏠리고 또다시 혼란이 가중될 수도 있겠지만 그래도 민생을 챙길 국정은 흔들리지 않아야 하며 정치와 별개로 경제는 돌아가야만 한다.
hoon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저작권자 ⓒ 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