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김도엽 기자 = 금융감독원이 약 240억 원의 금융사고가 발생한 IBK기업은행(024110)에 대한 고강도 검사를 마무리했다.
금감원은 사고 직원의 또 다른 대출과 함께 제3의 직원이 연루된 점을 들여다봤는데, 최종 검사 통보지에는 더 큰 사고 금액이 기재될 전망이다.
21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감원은 기업은행에 대한 수시검사를 이날 사실상 마무리했다. 마지막 정리를 위해 소수 직원에 대해서만 검사 기간을 하루 더 연장했다.
당초 검사는 지난달 21일 종료 예정이었으나, 추가 검사를 위해 지난 14일, 이날까지 두차례 더 연장된 바 있다.
지난달 9일 기업은행은 239억 5000만 원 규모의 배임 사고가 발생했다고 공시했다. 퇴직한 직원이 현재 근무하는 직원과 결탁해 부동산 담보가치를 부풀리는 방식 등으로 부당대출을 시행한 건이 문제가 됐다.
사고 기간은 지난 2022년 6월부터 지난해 11월 2일까지이며 서울 강동지역의 기업은행 지점 다수가 연루된 것으로 전해졌다. 기업은행은 자체 정기감사를 통해 부당대출 정황을 적발해 금감원에 보고했고 이후 수시검사가 개시됐다.
금감원은 기업은행 본점뿐만 아니라 강동지역 지점 등을 대상으로 대규모 인력을 파견해 검사를 진행했다. 검사 과정에서 전직 기업은행 직원과 현 직원 등이 입사 동기라는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아울러 금감원은 문제가 된 건뿐만 아니라, 사고 직원이 취급한 또 다른 대출, 제3의 직원이 더 연관됐을 가능성, 직원과 대출자의 친인척 여부 등도 함께 들여다봤다. 이에 금융사고 금액이 더 커질 가능성뿐만 아니라 연루 직원 수도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금감원은 수시검사 중간 결과 발표에 대해서는 "검토한 바가 없다"고 밝혔다. 금융기관 검사 및 제재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금감원은 수시검사 결과 통보를 152일 이내에 해야 한다. 기업은행은 사고 관련 직원을 업무 배제 조치한 상태다.
한편 이복현 금감원장은 부당대출과 관련해 "매우 심각하게 보고 있다"고 지난 18일 국회 정무위원회 업무보고에서 말했다.
이 원장은 "한두 명의 일탈이 아닌 구조적인 문제로 파악하고 있다"며 "끼리끼리 문화, 온정주의 문화, 외연 확장주의에서 비롯된 것으로, 아주 심각하고 큰 책임을 물으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