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일자리 매칭·월세 지원…청년이 머무는 부산 만든다

연합뉴스

입력 2025.02.24 10:42

수정 2025.02.25 08:48

청년정책 95개 사업에 4천146억원 투입…청년 목소리 직접 청취
일자리 매칭·월세 지원…청년이 머무는 부산 만든다
청년정책 95개 사업에 4천146억원 투입…청년 목소리 직접 청취

청년 구직자 채용 상담 (출처=연합뉴스)
청년 구직자 채용 상담 (출처=연합뉴스)

(부산=연합뉴스) 김선호 기자 = 부산시가 청년지원 사업 12개를 신규 추진하고 기존 10개 정책을 확대하는 등 청년이 머물고 싶은 도시를 만든다.

부산시는 24일 오후 2시 30분 부산 청년작당소에서 제6차 시민행복부산회의를 열고 3대 전략이 담긴 청년 정책을 발표한다.

정책은 일자리, 주거, 교육, 복지 분야, 참여 권리 등 5대 분야, 25개 중점과제를 담았고 총 95개 사업에 4천146억원을 투입해 추진한다.

청년 일자리 부문에는 일자리 매칭, 근속 지원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는 '청년 잡성장 프로젝트'를 기존 31억원 규모에서 35억원 규모로 확대한다.

좋은 기업을 청년들에게 알려주는 '청끌기업' 사업도 기존 100개 사에서 110개 사로, 청년고용 우수기업도 기존 3개 사에서 5개 사로 확대한다.



청년과 기업의 실제적인 매칭을 위해 일대일 맞춤형 구직 상담을 할 수 있는 '구직 관리 책임제'를 도입한다. 이 제도로 취업에 성공한 청년에게는 1년 이상 근속 시 1인당 100만원의 청년도약지원금을 지원하고 해당 기업에는 정규직 채용 후 1년간 고용 유지 시 연간 720만원의 인건비를 준다.

청년 생활 정책도 개선한다.

부산으로 전입하거나 이사하는 청년에게 1회 40만원의 이사비를 지원하는 사업을 신규 시행한다.

기존 월세 지원사업은 지원액을 최대 2배인 480만원까지 늘리고 임차보증금 대출이자를 전국 최저 금리로 지원한다.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료 지원사업 대상자도 기존 1천명에서 2천명으로 확대한다.

복지문화 분야에서는 청년에게 큰 호응을 받았던 '부산청년만원문화패스'를 '부산청년만원+문화패스'로 개편하고 대상자를 5천명에서 8천명으로 늘린다.

이 제도는 청년이 1만원을 부담하면 11만원 상당의 문화공연을 볼 수 있는 문화정책이다.

지급 방식도 기존 10만원권에서 5만원권을 추가하고 관람 대상도 지역 축제에 소규모 공연까지 다양화했다.

심리적 사각지대에 놓인 청년들의 정서 회복을 돕는 '청년 마음이음 사업' 대상자도 700명에서 1천명으로 확대한다.

청년이 참여하는 부산시 정책에 참여하는 제도도 추진한다.

시 산하 위원회의 청년위원 참여를 10% 이상 의무화하고 청년정책을 다루는 위원회는 30%를 청년으로 구성한다.

부산청년센터에 정책 사령탑 역할을 부여하고 구·군에 거점 청년 공간을 조성해 교류를 활성화한다.

올해에는 주요시설 할인을 제공하는 '생활인구 청년증' 등 청년들이 정주 인구에서 생활인구로의 전환을 유도하는 '청년 생활인구 유입 활성화 사업'도 추진한다.


시는 이날 열리는 시민행복부산회의에서 청년들의 목소리를 직접 들을 예정이다.

win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