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보이스피싱 피해액 눈덩이…금융권·검경, '현장 대응' 힘 모은다

뉴스1

입력 2025.02.24 14:40

수정 2025.02.24 14:40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깃발이 휘날리는 모습. 2018.4.17/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깃발이 휘날리는 모습. 2018.4.17/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서울=뉴스1) 김도엽 기자 = #1. 한 고객이 보유주식을 6억 원 매도 후 출금을 요청하며 주식담보대출에 대해서도 문의했다. 직원은 영업점 문진제도에 따라 출금 목적을 문의하자 고객은 위축된 모습으로 목소리가 작아지면서 사업자금이라 답변했다. 직원은 보이스피싱을 의심하고 적극적으로 고객에게 설명해 보이스피싱 피해를 예방했다.(삼성증권 도곡WM1지점)

#2. 또 다른 고객은 전날 중도 해지한 예금 1억 원에 대해 현금 출금을 요청했는데, 영업점 직원이 휴대전화를 보여달라고 하자 계속 거부하고 문자메시지 대화내역을 모두 삭제했다. 직원이 같은 은행 고객인 배우자에 연락해 문의한 결과 해당 고객이 최근 카드배송 관련 연락을 받았다는 사실을 듣고 보이스피싱임을 확신할 수 있었다.

직원은 끈질기게 고객을 설득해 피해를 예방했다.(기업은행 인천주안지점)

최근 보이스피싱 피해가 증가하고 더 지능화된 카드배송 사칭 수법을 중심으로 고액 사기까지 잇따르자 금융권과 수사기관이 힘을 모으기로 했다.

금융감독원은 24일 '보이스피싱 현장 대응능력 제고를 위한 금감원·검경·금융권 공동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에는 영업점의 보이스피싱 피해예방 모범사례를 공유하는 한편 금융권이 고객과의 접점에서 수사기관과 유기적 협력을 통해 적극 대응할 방안이 논의됐다.

실제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지난해 9월 249억 원, 10월 453억 원, 11월 614억 원, 12월 610억 원 등 커지고 있다.

금감원은 지난 14일 경각심 제고를 위해 소비자경보 등급을 기존 '주의'에서 '경고'로 상향 발령하기도 했다.


김미영 금감원 금융소비자보호처장은 "그간 범정부 차원의 대응 노력에도 최근 피해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고객과의 접점에서 대응하는 금융사 임직원이 적극적으로 나서줄 필요가 있다"며 "특히 보이스피싱 범죄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수사기관과 보다 긴밀하고 유기적으로 협조해 줄 것"을 당부했다.

금감원은 향후에도 수사기관, 금융권과 긴밀히 공조해 신종 수법에 적극 대응하는 등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아울러 금융사 영업점 대응 모범사례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금융권과 공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