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환경

2기 탄녹위 출범…2035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9월 제출

뉴시스

입력 2025.02.24 15:30

수정 2025.02.24 15:30

최상목 국무총리 직무대행 주재 탄녹위 출범식
[서울=뉴시스] 한화진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공동위원장이 지난해 12월 12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한국은행-한국경제발전학회 공동 심포지엄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제공) 2024.12.12.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한화진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공동위원장이 지난해 12월 12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한국은행-한국경제발전학회 공동 심포지엄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제공) 2024.12.12.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성소의 기자 = 여성과 청년 참여 비율을 높인 제2기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탄녹위)가 공식 출범했다. 정부는 탄녹위 심의 등을 확정된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9월 중 국제사회에 제출하기로 했다.

대통령 직속 탄녹위는 정부서울청사에서 최상목 국무총리 직무대행 주재로 제2기 탄녹위 출범식과 전체회의를 개최했다고 24일 밝혔다.

제1기 위원회는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라 지난 2022년 10월 출범해 지난해 10월 말 임기를 마쳤으나, 인사권자인 대통령 탄핵소추 등으로 2기 위원 임명이 늦어지면서 지금까지 활동을 이어오고 있었다. 약 4개월 만에 제2기 위원회가 뒤늦게 출범하게 된 것이다.



제2기 위원회에는 무탄소에너지(CFE), 수소, 인공지능(AI) 등 미래 신기술 관련 전문가가 대거 참여한다.

또 여성 위원 비중이 21%에서 39%로, 청년 비중은 3%에서 8%로 늘어나게 됐다. 류기섬 한국노총 사무총장, 송시영 서울교통공사 올바른노동조합 위원장 등 노동계에서도 2명이 새롭게 참여하게 됐다.

정부는 이날 제2기 탄녹위 핵심과제,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수립 추진상황 및 계획, 국가 기후위기 적응대책 수립 계획 등을 보고했고 위원회는 모두 원안 의결했다.

우선 탄녹위는 2031~2049년 온실가스 감축 장기 비전 마련,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수립, 기후위기 적응 전략 수립 등을 통해 국가 중장기 비전을 제시하기로 했다.

또 과학기술을 통한 탄소중립, 에너지 전환 가속화, 기후테크 산업 활성화, 녹색금융 지원 강화, 글로벌 규제 대응 등을 핵심 정책과제로 추진하기로 했다.

2035 NDC의 경우 국제적 책임과 과학적 근거에 기반해 사회적 합의를 거쳐 도전적이고 실현 가능한 목표를 설정한다는 기본 방향에 따라 수립할 계획이라고 탄녹위는 밝혔다.

NDC는 향후 10년 간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와 세부 경로를 정한 것으로, 2015년 체결된 파리협정에 따라 당사국들은 5년마다 NDC를 설정해 국제사회에 제출해오고 있다.

정부는 앞서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줄인다는 계획을 지난 2021년 국제사회에 제출한 바 있다. 차기 NDC는 이전보다 진전된 목표를 제시해야 한다는 파리협정의 '진전의 원칙'에 따라 2035년 NDC는 종전 목표치보다 높아야 한다.

정부는 지난해 3월부터 올해 1월까지 관계부처 추천 전문가로 구성된 기술작업반을 통해 도출한 감축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이달부터 정부안을 마련 중이다.

이를 토대로 정부는 각계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 공론화 과정을 거쳐 탄녹위 심의를 통해 최종안을 확정한 뒤 9월 중 유엔(UN)에 2035 NDC를 제출할 계획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국가 기후위기 적응대책 수립 계획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정부는 올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4차 국가 기후위기 적응 대책(2026~2030년)을 수립할 예정이다.

제4차 대책은 '국민의 일상을 지키는 기후적응 선도국가 실현'이라는 비전 하에 만들기로 했다. 최근 기후위기로 인한 농·수산물 가격 변동성을 완화하고 취약계층을 위한 기후보험 상품을 개발하는 대책 등이 포함된다.
그 밖에 폭염·홍수 등 대응을 위한 사회기반 시설 정비, 취약계층 실태조사 도입 등도 추진한다.

환경부는 전문가·국민 의견수렴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된 신규 과제를 관계부처에 제시하고 각 부처도 소관 과제를 발굴해 제안할 예정이다.
최종 대책은 탄녹위 전체회의 심의를 통해 연내 확정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soy@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