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구축 한달 만에 매각 성사
금융당국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정보공개 플랫폼'을 구축한지 한 달 만에 첫 매각 사례가 나왔다. 금융당국은 플랫폼을 통한 PF 부실 정리를 독려하는 한편 부실 정리가 지연되는 금융사에는 현장검사에 나서는 등 '투트랙'으로 PF 정리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24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이 지난 1월 22일 PF 정리 촉진을 위해 매각 추진 사업장 현황 리스크를 제공하는 PF 정보공개 플랫폼을 구축한 이후 첫 매매 계약이 체결됐다.
출시 당시 경·공매 대상 사업장 가운데 소송이 진행 중이거나 경·공매 일정 미확정 사업장을 제외하고 195개 사업장(3조1000억원)의 규모가 우선 공개됐다.
계약이 체결된 사업장은 지방 소재 물류센터로 이전에 캠코의 공매 플랫폼 온비드를 통해 3차 공매까지 진행됐으나 인수자를 찾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해당 사업장 외에도 수도권 소재의 상업시설 사업장은 현재 매매계약 체결 직전 단계다. 이들을 포함해 현재 8∼9개 사업장(4000억원 규모)이 거래 당사자 간에 구체적인 가격 협상이 진행돼 이달 중 본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전해졌다. PF 정보공개 플랫폼이 지난달 22일 구축된 이후 설 연휴(1월 27∼30일)를 제외하면 사실상 3주 만에 이뤄낸 성과다.
금감원은 이달 말 1조원 상당의 사업장 정보를 추가하는 등 정보공개 대상 사업장을 매월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2차 매물 공개 시에는 건설유관단체, 건설사 등이 희망하는 사업장 요건 등을 제시하도록 하고, 금융사가 해당 조건에 맞는 사업장을 선별해 설명하는 등 맞춤형 매각설명회도 개최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정보공개 플랫폼을 통한 매매 활성화와 별개로 매각이 지연되는 사업장에 대해서는 현장검사에 나서는 등 투트랙으로 매매를 독려할 계획이다.
금감원은 이달 중순 PF 대출 취급 규모가 큰 저축은행 등 10여개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간담회를 열고 부실 PF 대출 정리를 요청했다. 이 자리에서 금감원은 다음달부터 PF 부실 정리가 지연되는 저축은행의 PF 대출 취급 과정 및 리스크 관리의 적정성을 점검하기 위해 현장검사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정리대상 PF 익스포저 12조5000억원 가운데 지난해 말까지 약 4조원 안팎이 정리됐다. 기존 연말까지 정리계획(4조3000억원)에 약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서혜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