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원태성 기자 = 12·3 비상계엄 사태로 헌법재판소에서 탄핵심판을 받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최종변론을 진행한다. 지난해 12월 14일 국회가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의결하고 헌재에 접수한 지 73일 만이다.
윤 대통령은 최후 진실을 준비해 헌법재판소에서 직접 발언에 나서 계엄의 정당성을 부각하며 대국민 호소전을 펼칠 것으로 전망된다.
더불어민주당은 윤 대통령의 최종변론으로 인한 지지층 결집을 우려해 헌법재판소를 향해 "파면 외에 다른 결론은 없다"며 신속한 탄핵 인용을 촉구하며 총공세에 나섰다.
헌법재판소는 25일 오후 2시 윤 대통령 탄핵심판 11차 변론기일을 지정하고 국회 측과 윤 대통령 측 종합 변론을 듣는다.
윤 대통령은 헌정사상 최초로 현직 대통령이 직접 최후 의견 진술에 참여하는 만큼 윤 대통령의 언행 하나하나에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민주당도 최종 변론을 마친 뒤 지지층 결집으로 헌법재판소가 영향을 받을 것을 우려한 듯, 총공세에 나섰다.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는 전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헌법재판소를 향해 "국민의힘과 극우세력의 외압에 흔들리지 말고 오직 헌법과 상식에 근거해 합리적 결정을 내려달라"고 촉구했다.
이어 "상식적이고 합리적으로 생각할 때 헌법재판소가 파면 이외에 다른 결론을 내릴 까닭이 없다. 윤석열이 다시 대통령직에 복귀하는 것은 대한민국을 파멸의 길로 내모는 것이기 때문"이라며 "만일 헌법재판소가 기각 결정을 하면 앞으로 어떤 대통령도 기분 나쁘면 계엄령을 선포하고 군대를 동원해 정치인과 국민을 체포하고 살해해도 괜찮은 나라가 될 텐데 과연 그런 결정을 내리겠나"라고 강조했다.
김용민 민주당 의원, 황운하 조국혁신당 원내대표를 포함해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 수첩에 '수거 대상'으로 기록된 야당 의원들은 같은 날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최종 변론을 하루 앞두고 탄핵을 촉구하는 탄원서를 제출했다. 옥중에 있는 조국 혁신당 대표도 탄핵 촉구 탄원서에 서명했다.
윤 대통령 최종변론을 앞두고 당 주요 관계자들에게 '사형, 평생 감옥 등의 표현은 자제해달라'고 당부한 이재명 민주당 대표도 24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를 찾아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인 진우스님을 예방한 자리에서는 탄핵 이후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함께 힘써달라는 듯한 메시지를 전했다.
이 대표는 진우 스님에게 "최근 상황이 갑작스럽게 생긴 일이지만 심각한 건 명확하다"며 "정치의 노력만으로 이겨내기가 쉽지 않아서, 이럴 때일수록 우리 사회의 정신적 지도자분들, 특히 종교계에서 나서줄 필요가 크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