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청주경실련 전 임원들 "재창립 우려…주요 직책자 물러나야"

뉴시스

입력 2025.02.25 11:54

수정 2025.02.25 11:54

"성희롱 사건 당시 주요 직책자들 재활동"
[청주=뉴시스] 이도근 기자= 충북·청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이두영(왼쪽부터) 전 사무처장, 우정순 전 공동대표, 손세원 전 집행위원장이 25일 청주시 상당구 문화동 충북도청 브리핑룸에서 충북·청주 경실련 재창립 강행에 반발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2025.02.25. nulha@newsis.com
[청주=뉴시스] 이도근 기자= 충북·청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이두영(왼쪽부터) 전 사무처장, 우정순 전 공동대표, 손세원 전 집행위원장이 25일 청주시 상당구 문화동 충북도청 브리핑룸에서 충북·청주 경실련 재창립 강행에 반발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2025.02.25. nulha@newsis.com

[청주=뉴시스] 연현철 기자 = 충북·청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전 임원들이 충북·청주경실련 재창립 과정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이들은 25일 충북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충북·청주경실련 재창립발기인대회가 30여명이라는 소규모로 원칙·기준 없이 폐쇄적으로 진행됐다"며 "성희롱 사건 당시 주요 직책을 맡던 사람들이 발기인대회를 준비했고 재창립준비위원회의 주요 직책도 맡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충북·청주경실련 사고지부 비상대책위원회와 재창립발기인의 참여자, 관련 회의록 등이 공개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충북·청주경실련 성희롱 사건 당시 주요 직책에 있었거나 어느 일방의 입장에서 활동했던 사람들은 모두 물러날 것을 요청한다"며 "특정 정당이나 특정 정치인 관련 사람들이 주요 직책을 맡지 못하도록 철저히 검증해야 한다"고 했다.

끝으로 "충북·청주경실련이 올바르게 창립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달라"고 강조했다.



충북·청주경실련은 2020년 조직 내 성희롱 사건을 계기로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된 뒤 중앙경실련에서 사고지부로 지정됐다.

당시 남자 임원이 다른 남자 직원들과 대화하던 중 성희롱성 발언을 해 조직 내 갈등으로 치달았다.
지난 4월 대법원 판결에서 성희롱 피해 사실은 인정됐으나 이를 폭로한 여직원에 대한 해고 무효확인 청구소송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공감언론 뉴시스 yeon0829@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