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뉴스1) 박준배 기자 = 광주시와 시민사회단체가 협력을 통해 '시민 행복'이라는 공동 목표 실천을 위해 동행하기로 뜻을 모았다.
광주시는 24일 오후 광주실감콘텐츠큐브(GCC) 1층 스튜디오에서 '제5차 광주시-시민사회단체 토론회'를 개최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광주의 도전과 변화 그리고 광주의 내일'을 주제로, 박미경 광주시민단체협의회 상임대표는 '12·3 내란 종식과 민주 회복을 위한 광주 시민사회의 노력'을 주제로 발표했다.
시민사회단체는 △시민사회 활성화 △지방분권과 마을 자치 강화 △성평등 정책 총괄 기능 강화 △대자보 도시를 위한 정책 추진 등에 대한 광주시 실행 방안 등을 묻고 대안을 제시했다.
광주시는 △더 따뜻한 민생경제를 위해 시민사회 동참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재정 분권 등의 정책 방향을 설명하며 시민사회단체와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시민사회단체는 단체를 '공공재'로 인식하고 탄핵정국 등 위기에서 빛난 시민사회 역량 강화를 위해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단체 스스로 시대 변화를 따라잡기 위한 자성과 함께 행정에서의 공간·인력·교육 등이 뒷받침돼야 시민사회의 역량이 커지고 ‘더 단단한 민주주의’를 실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광주시와 시민사회단체가 주축이 돼 시민의 안전을 지키고 불안을 해소했던 12·3 비상계엄 당시 '헌법수호 비상계엄 무효선언 연석회의',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합동분향소 운영 등 상주 역할로 참사의 아픔을 껴안은 헌신 사례에서 행정과 시민단체 간 협력의 중요성은 확인됐다는 점에 대해 공감했다.
박미경 광주시민협 대표는 "시민사회 활동이나 행정은 시민 삶터의 안전 유지라는 공통점을 갖는다. 민선 8기 광주시는 어등산 개발, 지하철 2호선, 군 공항 문제 등 주요현안을 해결하려는 추진력과 해묵은 현안 해결을 위해 지속적으로 의제를 놓치지 않고 긴장감과 집중력 발휘한 점은 매우 주목할 만하다"며 "섬세한 행정을 펼치고 어려운 사정을 잘 들어주는 것만으로도 위로가 될 수 있는 시기이다. 따뜻한 배려의 행정을 펼쳐달라"고 주문했다.
강기정 시장은 "행정과 시민사회는 각자의 역할이 있지만, 숲과 나무를 함께 바라봐야 한다"며 "이러한 역할을 잘 실천하기 위해 행정은 시민사회로, 시민사회는 행정의 방향으로 서로의 어려움을 이해하며 한발짝 두발짝 다가서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 시장은 시민사회단체 지원 문제에 대해 "사회가 급변하고 있다. 시민사회단체도 새로운 디자인이 필요한 시기이다"며 "지원 방안에 대해 시민사회단체와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 후속 논의를 이어가자"고 밝혔다.
광주시와 시민사회단체는 민선 8기 들어 2023년 1월 첫 토론회를 시작으로 매년 상하반기 한 차례씩 총 다섯차례 공개 토론회를 가졌다. 토론회는 시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 생중계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