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美 관세 대응책 'LNG 수입 확대'…정부 협상서 통할까

뉴시스

입력 2025.02.25 15:20

수정 2025.02.25 15:20

[인천=뉴시스]가스공사가 인천 송도에서 운영하는 액화천연가스(LNG) 생산기지 전경. 2024.06.29 photo@newsis.com
[인천=뉴시스]가스공사가 인천 송도에서 운영하는 액화천연가스(LNG) 생산기지 전경. 2024.06.29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류인선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 대미 무역 흑자 감축을 요구하면서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확대가 대안으로 떠오른 가운데, LNG 수입 업체들은 정부 협상 결과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곧 미국을 방문해 미국산 에너지 수입 확대 등을 토대로 관세 부과 예외 조치를 협상할 계획이다.

미국산 에너지 수입 확대는 트럼프 대통령의 화석 연료 강화 정책에서 출발했다.

SK이노베이션 E&S, GS그룹 계열 발전사 포스코 등이 LNG를 사용하는데, 미국산 비중 확대 가능성과 미국산 수요 증가로 인한 가격 변동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10년 이상 장기 계약이 많은 업계 특성상 단기적인 수입처 변동은 쉽지 않지만, 장기적으로 미국산 LNG 도입 확대 의사를 밝히는 것 역시 협상 수단이 될 것이라는 게 재계 시각이다.



지난해 한국의 LNG 수입량은 4632만톤에 달한다. 이중 호주산이 24%로 가장 많았고, 카타르(19%)와 말레이시아(13%)가 뒤를 이었다. 미국산은 12%로 4위였다.

태평량을 건너와야 하는 미국산 LNG 가격은 운송비가 부담 요인이다.

LNG 가격은 LNG운반선 비용에 따라 갈리는데, 호주, 말레이시아, 카타르 등이 미국 대비 지리적으로 가까워 더 저렴했다. 미국은 중동 대비 운송 거리가 1.5배 더 길다.

외국 정부들도 LNG를 협상 카드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미국산 석유와 가스를 구입해 대미 무역 적자를 메우겠다고 했다. 일본도 LNG 수입 확대를 협상 카드로 제시했다.

이런 와중에 트럼프 대통령은 알래스카 LNG 사업에 각별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트럼프는 취임 직후 이 사업을 위한 행정 명령에 서명했다. 알래스카 북쪽의 부유식 LNG 생산 설비로 연간 400만톤을 생산하는 440억달러(63조원) 규모 사업이다.


미국 정부가 만족할 수준의 LNG 도입량 확대를 위해서는 수입량 대부분을 차지하는 한국가스공사의 행보가 중요하다. 카타르 등과 계약한 장기 계약이 끝나는 시기가 가까워 미국과 새로 계약할 여지가 많다는 말도 들린다.


업계 관계자는 "국가 차원의 협상이 진행되고 있어 이를 지켜보고 있다"며 "한국가스공사의 비중이 크지만, 민간 사업자들도 수입원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ryu@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