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학교 존폐위기에…제주교육청 '적정규모 학교' 세부계획 시급"

뉴스1

입력 2025.02.25 15:48

수정 2025.02.25 16:34

제주도의회 교육위원회 회의장.(제주도의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제주도의회 교육위원회 회의장.(제주도의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제주=뉴스1) 오현지 기자 = 제주도교육청이 학령 인구 감소에 대비한 적정규모 학교 육성 계획을 발표해 놓고도 정상적인 계획 추진에 소극적이라는 비판이 제주도의회에서 나왔다.

고의숙 교육의원은 제435회 도의회 임시회 제2차 회의에서 제주도교육청으로부터 올해 주요 업무를 보고받으며 이 같은 문제를 짚었다.

고 의원은 "제주도교육청은 지난해 8월 미래형 적정규모 학교 육성 계획을 발표하면서 소규모학교 통폐합, 이전 재배치, 통합 운영학교, 남녀공학 전환 등 다양한 적정규모화를 유도하겠다고 밝혔다"며 "하지만 올해 업무 보고자료를 보면 소통의 장 마련 3번, 홍보자료 제작 2번 해서 예산 527만원만을 편성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적정규모 학교 육성 계획을 이미 발표했다면 올해 보고에 로드맵이라도 나와야 하는데 업무보고는 단 2줄 밖에 없다"며 "학생 수가 2000~3000명씩 줄고 있고, 더 이상 전입 학생이 없어 학교 존폐위기를 고민하는 상황에 이런 업무보고는 무책임한 행정"이라고 비판했다.

김창식 교육의원은 "한림중과 한림여중 통합 관련 설문조사는 이미 작년에 2번 진행됐고, 찬성률이 각각 69.9%, 72.3%로 찬성이 더 높았다"며 "그런데도 아무런 추진 계획이 없다.

날림으로 추진하는 계획은 아닌지, 교육청의 의지가 있는지 우려된다"고 짚었다.

양윤삼 도교육청 행정국장은 "시기의 문제로 업무보고에 계획을 소상히 담지 못했지만, 내부적으로는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학교 육성을 위해 소규모 학교 지원정책과 통폐합 정책을 병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양 국장은 "한림중 통합은 설문조사 결과 찬성률이 60%를 넘으면 지역교육협의체를 구성해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며 "3월부터 논의를 시작할 계획이지만, 몇년도에 어떤 규모로 통합할지에 대한 내용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