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 정신건강 치료비 등 지원 확대
![[수원=뉴시스] 경기도청 전경. (사진=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2/26/202502260834383158_l.jpg)
[수원=뉴시스] 박상욱 기자 = 경기도는 자살고위험군을 조기에 찾아 청년, 노인 등 대상별·연령별 맞춤형 지원으로 도내 자살률을 감소해 나갈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도는 우선 우울·불안 등 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일반 도민에게 심리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과 '24시간 정신건강위기상담전화(1577-0199)'를 통해 고위험군 조기발견과 치료지원 서비스 연계를 강화할 방침이다.
우울증, 자살위기 등 고위험군의 치료를 위해 도는 연령별 특성에 맞춰 맞춤형 정신건강 치료를 집중 지원하고 있다.
특히 최근 청소년 자살률이 높아짐에 따라 기존 청년 정신건강 치료비 지원을 지난해 15세부터 34세까지로 확대했으며, 청년층에 특화된 스트레스성 신경증까지 치료비를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 6882명이 치료비를 지원 받았으며 이중 799명이 청소년으로 집계됐다.
자살률이 가장 높은 노인자살 예방을 위해서는 노인우울증 치료비 지원을 2023년부터 소득기준 없이 연 20만원에서 36만원으로 확대해 치료 문턱을 낮췄다.
그 결과 지원 인원이 2022년 191명, 2023년 2640명, 2024년 3317명으로 대폭 증가했다. 도는 치료비 지원이 노인 자살률 감소에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지원을 이어가기로 했다.
이외에 중장년층을 위한 지원책으로 실직이나 주거 불안 등 복합적인 위기 상황에 처한 이들을 돕기 위해 온라인 플랫폼을 개설하고, 정신건강 정보제공·상담 및 치료연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자살유족의 심리적 회복을 위한 자조모임 운영 지원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경기도에서는 해마다 3000여 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사망동기는 정신적문제(36.6%), 경제·생활문제(27.7%), 육체적 질병문제(14.2%), 가정문제(5.6%) 등으로 조사됐다.
도는 지속적인 자살예방정책 추진을 통해 2011년 30.5명이던 자살률을 2023년 25.1명으로 감소시켰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경기도민이 힘든 상황일 때 혼자서 견디기보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지역사회 안전망을 구축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우울증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으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면 1577-0199를 통해 상담을 받을 수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sw78@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