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日·아세안 군사 훈련 8년 만 4배 증가…'中 견제' 협력 가속

뉴시스

입력 2025.02.26 10:12

수정 2025.02.26 10:12

2024년 공동 훈련 28회…해상자위대가 최다 21회
[술루해=AP/뉴시스] 일본 정부가 지난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회원국과 실시한 공동 훈련이 8년 만에 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일본 해상자위대의 이즈모함(DDH-183). 2023.08.07.
[술루해=AP/뉴시스] 일본 정부가 지난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회원국과 실시한 공동 훈련이 8년 만에 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일본 해상자위대의 이즈모함(DDH-183). 2023.08.07.

[서울=뉴시스]임철휘 기자 = 일본 정부가 지난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회원국과 실시한 공동 훈련이 8년 만에 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마이니치신문이 육상·해상·공중자위대를 통합 운용하는 통합막료감부 발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일본 정부가 아세안 회원국과 실시한 훈련은 총 28회로 집계됐다.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FOIP)' 전략을 내세웠던 2016년(7회)보다 4배 증가한 수치다.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FOIP)'은 일본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제안한 외교·안보 전략으로, 미국·호주·인도 등과 협력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경제 협력과 안보 강화를 추진하는 구상이다.

28회 훈련 중 다국간 훈련은 16회, 양자 간 공동 훈련은 4회, 양자 간 친선 훈련은 8회였다.



일본 육상·해상·공중자위대 중 해상자위대가 전체 28회의 훈련 중 21회로 가장 많이 참가했다.

지난해에는 말레이시아와의 친선 훈련이 보다 고도화된 공동 훈련으로 격상돼 훈련 내용이 보다 충실해졌다.

마이니치신문은 아세안 국가들과 공동 훈련이 증가한 데에 "FOIP 구상이 점진적으로 현장 활동에도 반영돼 실질적인 성과를 내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일본 방위성의 한 고위 관계자는 이 신문에 "일본이 그동안 추진해 온 것들이 마침내 형태를 갖추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부대 간의 행동이 수반되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며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일본 방위성은 아세안 회원국에 파견하는 주재 무관도 늘리고 있다.

주재 무관은 해당 국가의 군 관계자와 교류하며 정보 수집, 공동 훈련 기획, 장비 제공 필요 사항 파악 등 역할을 한다.

보도에 따르면 2015년 당시 일본이 아세안 회원국에 파견한 주재 무관은 7개국 총 7명이었으나, 2024년 말 기준으로 10명으로 증가했다.


일본 방위성은 캄보디아와 브루나이에 무관을 파견할 예정이며 남중국해에서 중국의 해양 진출 압박을 받는 베트남과 필리핀에는 육·해·공군 주재 무관을 각각 배치할 계획이다.

특히 일본은 지난해 필리핀과 상호접근협정(RAA·일본명 '원활화 협정')을 체결했는데, 이와 관련 일본 자위대 관계자는 "협정이 발효되면 공동 훈련이 더욱 본격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본은 최근 '정부 안전보장 능력 강화 지원(OSA)' 정책의 일환으로 필리핀에 해안 감시 레이더를 제공했으며, 말레이시아에는 구조선과 경계·감시용 소형 드론(무인기) 지원을 합의하는 등 장비 지원도 확대하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fe@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