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28일 하수시설 개선 위한 '요금체계 개편' 토론회

연합뉴스

입력 2025.02.26 11:16

수정 2025.02.26 11:16

서울시, 28일 하수시설 개선 위한 '요금체계 개편' 토론회

노후 하수시설 개선을 위한 하수도 요금체계 개편 토론회 포스터 (출처=연합뉴스)
노후 하수시설 개선을 위한 하수도 요금체계 개편 토론회 포스터 (출처=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정수연 기자 = 서울시는 '노후 하수시설 개선을 위한 하수도 요금체계 개편 토론회'를 연다고 26일 밝혔다.

토론회는 오는 28일 오전 10시 시청 서소문청사 후생동 4층 강당에서 열린다.

요금체계를 현실화해 재정을 확보, 하수시설 노후화 문제를 해결하자는 취지로 서울시 물순환안전국과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가 공동 주최한다.

2023년 결산 기준 서울시 하수도 요금 현실화율은 특·광역시 중 최하위인 56%로, 460억원의 적자를 봤다.

서울시의 하수도 평균 원가는 t당 1천246원인데 평균 요금은 t당 693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적자 구조 속에서 노후 하수시설 개선 작업에 착수하기 위해서는 재원부터 확보해야 한다는 게 시의 입장이다.

서울시 하수관로 1만866㎞ 가운데 30년이 넘은 노후 관로는 6천29㎞(56%)다.

매년 150㎞의 노후 관로가 새로 생기는데 정비는 연간 100㎞에 그치고 있다.

서울시가 운영 중인 4개 물재생센터(중랑·난지·서남·탄천)의 평균 노후도도 86.7%에 달한다.

토론회에서는 노후 하수관로 정비 및 물재생센터 현대화, 하수도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한 요금 현실화 방안에 대한 전문가 발표가 진행된다.

이어 전문가, 소비자단체, 서울시, 서울시의회 관계자들이 요금체계 개편 방안에 대해 토론한다.


정성국 서울시 물순환안전국장은 "이번 토론회를 통해 노후 하수시설 개선의 시급성을 공유하고, 시민 부담을 최소화하면서도 재정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js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