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與, '尹 직무복귀 개헌론' 부각…주류 '탄핵 각하' 여론전

연합뉴스

입력 2025.02.26 11:49

수정 2025.02.26 13:44

비주류선 "통합 메시지 없어 아쉬워"
與, '尹 직무복귀 개헌론' 부각…주류 '탄핵 각하' 여론전
비주류선 "통합 메시지 없어 아쉬워"

(서울=연합뉴스) 류미나 기자 = 국민의힘은 26일 윤석열 대통령이 전날 탄핵심판 최후변론에서 밝힌 '직무 복귀를 전제로 한 개헌'을 부각하며 탄핵 반대 여론전에 나섰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윤 대통령이 거론한 개헌에 대해 "헌법재판을 받으면서 본인이 대통령으로서 반드시 해야 할 과업으로 개헌을 통해 정치 시스템을 고치려 했다는 점을 깊이 생각해서 최후 변론에 담은 것 같다"며 "대통령으로서 그런 내용을 말한 건 옳은 말씀으로 생각하고 본인이 진정성을 갖고 했다고 평가한다"고 밝혔다.

성일종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이유 여하를 떠나 국가 대개조의 방향을 제시하신 것은 큰 진전"이라며 "조속한 시일 내에 여야가 합의해 개헌을 통한 국가 대개조로 나아갈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경원 의원은 YTN 라디오에 나와 "정치 개혁을 완성하겠다는 점에 대해서 상당히 공감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계엄 과정 등을 보면 '설사 헌법 위반이라고 하더라도 대통령 탄핵, 파면에 이를 정도가 아니지 않나'라고 판단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며 "(헌재가) 법률가적 양심에 따라 재판한다면 이 사건은 각하하는 것이 맞다"고 주장했다.



윤상현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은 편법으로 청구된 '요건 미달 심판'이고, 헌재의 위법성이 드러난 '부적법한 심판'이고, 증인과 증거에 대한 충분한 심리 과정을 진행하지 않은 '미진한 심판'"이라며 각하를 촉구했다.

박수영 의원은 "윤 대통령 탄핵 소추에서 헌재, 공수처, 검찰 등이 보여준 행태는 선출된 권력도 아니면서 그들의 정당성의 근원인 적법절차와 합법성조차 지키지 않았다"며 "혁명적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만, 비주류인 김상욱 의원은 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대부분 야당 탓 또는 본인 변명, 지지자 결집 이야기를 하고, 나아가서 헌법 개정도 이야기했던데 그건 본인이 할 이야기는 아니지 않나"라며 "만장일치 파면 결정이 당연하다"고 말했다.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은 SBS 라디오에서 "헌재 결과에 따라 승복 (또는) 분열이 예상되는데, 그에 대한 국민 통합 메시지가 없었다는 것은 아쉬운 점"이라고 지적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연합뉴스TV에 출연해 "이제 헌재의 시간"이라며 "판결이 어떻게 날지 모르겠지만, 어떻게 결정이 나도 여야가 다 헌재 결정 이후에는 화합할 수 있는 분위기로 갔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입장 밝히는 나경원 의원 (출처=연합뉴스)
입장 밝히는 나경원 의원 (출처=연합뉴스)

minary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