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뉴시스]대전지방보훈청이 26일 국립대전현충원에서 광복 80주년 및 3·1절을 맞아 고주리 순국선열 6인 합동 묘역 및 민족 대표 33인 고 최성모 지사 묘역 참배를 실시했다.(사진=대전지방보훈청 제공) 2025.02.26.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2/26/202502261325230123_l.jpg)
[대전=뉴시스]김도현 기자 = 대전지방보훈청은 26일 국립대전현충원에서 광복 80주년 및 3·1절을 맞아 고주리 순국선열 6인 합동 묘역 및 민족 대표 33인 고 최성모 지사 묘역 참배를 실시했다.
이번 참배는 광복 80주년과 3·1절을 맞아 묘소 참배 캠페인 일환으로 이뤄졌으며 광복회대전시지부장, 대전시 복지국장, 보훈 아너스클럽 위원 등 여러 관계자가 참석했다.
합동 묘역은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덕우리 공설묘지에 있던 묘소를 지난해 6월 10일 대전현충원으로 이장했으며 1919년 일본군이 제암교회 방화 살인 후 고주리에 내습해 참살된 김흥열 일가 등 6명을 모신 묘역이다.
또 무후 광복군 17위 합동 묘역은 서울 수유리 광복군 합동묘역에 안장돼 있던 광복군 묘소를 2022년 8월 14일 대전현충원으로 이장했으며 젊은 나이에 순국해 후손이 없는 광복군 17명을 모시고 있다.
최성모 지사의 경우 민족 대표 33인 중 대전현충원에 안장된 유일한 인물로 3·1운동 당시 인사동 태화관에 민족 대표로 참석해 독립선언서를 회람하고 만세삼창을 외친 뒤 일본 경찰에 의해 체포됐다.
이후 1920년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보안법과 출판법 위반 혐의로 징역 2년을 선고받고 서대문 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서승일 청장은 "광복 80주년과 3·1절을 맞이해 대전현충원에 잠들어 계신 독립 유공자 묘역을 참배하게 된 것에 대해 뜻깊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국립묘지 및 산재 묘소 등에 잠들어 계신 독립유공자 묘소를 순차적으로 참배해 독립 유공자 희생을 잊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dh1917@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