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한-호주 그린EPA 비즈니스포럼…韓CCUS 산업 수혜 기대
"녹색경제동반자협정으로 韓 발생 탄소 호주 저장길 열려"한경협, 한-호주 그린EPA 비즈니스포럼…韓CCUS 산업 수혜 기대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 = 한국과 호주 간 녹색경제동반자협정(그린 EPA) 체결로 한국의 탄소 감축과 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산업 발전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는 26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한국-호주 그린 EPA 비즈니스 포럼'을 열었다.
정인교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한국과 호주 간 그린 EPA는 규제 및 표준 인증 협력까지 포괄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협력 MOU와 차별화된다"며 "두 국가는 탄소의 국경 간 이동을 위한 다자 협약상 절차를 완료한 아시아태평양 유일한 국가이므로 그린 EPA를 통해 CCUS 분야 협력이 가속화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양국 기업인들은 한국-호주 그린 EPA 체결을 계기로 수소, CCUS, 핵심 광물 등 9개 분야에서 협력이 강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CO2 저장에 유리한 지질학적 특성을 가진 호주는 CO2 저장 인프라가 부족한 한국의 최적 파트너로 꼽힌다.
특히 참석자들은 한국 플랜트 발전 과정에서 발생한 탄소를 호주로 운송·저장할 가능성이 확대된 점에 주목하며 양 국가가 재생에너지 및 탄소중립 관련 공동 연구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기업 발표 세션에서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허규범 SK이노베이션 E&S 실장은 자사가 호주에서 수행 중인 저탄소 LNG 사업을 소개했다.
그는 "그린 EPA 체결로 호주에서의 국경 간 탄소 저장 사업 추진 가능성이 한층 확대됐다"며 "국가 간 파트너십이 국경 통과 CCS 프로젝트 사업화의 주요 근거가 되는 만큼 그린 EPA를 기반으로 양자협약 등 제도적인 후속 조치가 조속히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전동욱 LG에너지솔루션 상무는 현지 광물 투자 사례를 공유하며 양국 핵심 광물 공급망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리스크 관리를 위한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호주 경제계도 그린 EPA가 양국 경제가 환경문제와 에너지 안보에서 '윈윈'할 수 있는 계기로 내다봤다.
호주 측 발표자로 나선 로버트 사운더스 일렉시드 법인장은 "호주는 청정에너지 식량 창고이고, 한국은 청정에너지 소비국"이라며 "그린EPA가 한국 기업이 호주 그린수소 생산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경협은 올해 9월 한국에서 개최 예정인 제46차 한-호주 경제협력위원회에서 그린 EPA 후속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김봉만 한경협 국제본부장은 "이제 한-호주 그린 EPA의 구체적 성과를 위해 양국 정부와 기업이 실행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적극 추진해야 할 때"라며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양국 간 녹색경제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논의의 장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viv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저작권자 ⓒ 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