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경제

구리도 트럼프 관세 사정권…'국가안보 영향 조사' 행정명령

박종원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2.26 18:15

수정 2025.02.26 18:15

무역확장법 232조 동원해 지시
'위협' 판단 땐 수입제한·고관세
구리 선물가격 장중 4.1% 급등
일일 상승폭 작년 11월 이후 최고
최대 수출국 칠레·캐나다 등 긴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연합뉴스
다음달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품에 25% 관세를 예고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구리 수입 과정을 조사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시장에서는 트럼프가 구리에도 관세를 추가할 수 있다고 보고 긴장하는 분위기다.

■구리 가격, 트럼프 조사 소식에 급등

2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의 상품거래소(COMEX)에서 거래된 구리 선물 가격은 장중 4.1% 올라 지난해 11월 이후 가장 높은 일일 상승폭을 기록했다. 같은날 뉴욕 증시에 상장된 미국 광산기업 프리포트 맥포란의 주가는 트럼프의 구리 언급 이후 장외 거래에서 6% 넘게 뛰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트럼프는 이날 '구리 수입에 따른 국가 안보 위협 대처'라는 제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그는 해당 명령에서 미국 상무부에게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미국의 구리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라고 요구했다. 보고 기한은 명시되지 않았으나 관련 법률에 따르면 상무부는 270일 안에 결과를 내놔야 한다.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은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을 언급하고 "우리의 새 장관은 최대한 빨리, '트럼프 시간'에 맞춰 움직일 것"이라고 말했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수입품이 미국의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되면 긴급하게 수입을 제한하거나 고율의 관세를 매길 수 있도록 규정한 조항이다. 트럼프는 1기 정부였던 2018년에 해당 법률을 근거로 수입 자동차 및 부품에 25% 관세 부과를 추진하면서 우선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으로 조사하라고 지시했다.

시장 투자자들은 트럼프의 추가 관세가 철강·알루미늄에 이어 구리까지 번질까봐 걱정하고 있다. 트럼프는 2018년에 미국 산업을 살리겠다며 무역확장법 232조를 동원, 수입 철강·알루미늄에 각각 25%, 10%의 관세를 부과했다. 그는 당시 한국, 캐나다, 멕시코, 브라질, 호주 등에 수출 할당량을 도입하는 조건으로 해당 관세를 면제했으나 지난 10일 발표에서 면세 조치를 파기하고, 다음달 12일부터 수입 철강·알루미늄에 각각 25% 관세를 붙인다고 알렸다.

■中 구리 더 때릴 수도

미국 정부 관계자는 상무부가 구리 원광과 제련된 구리(정련동), 합금, 고철 및 파생 상품 등을 검토한다고 알렸다. 동시에 트럼프가 1기 정부에서 꺼냈던 할당량 제한보다 관세를 더 선호한다고 설명했다.

같은날 러트닉은 "미국의 구리 산업도 철강·알루미늄과 마찬가지로 국내 생산을 공격하는 글로벌 행위자들에 의해 파괴됐다"며 "구리 산업을 재건하기 위한 관세 부과 가능성을 놓고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미국의 국방과 산업에서 구리의 중요성이 크다며 "그것은 미국에서 만들어져야 하며, 면제와 예외가 있을 수 없다"면서 "구리를 미국으로 돌아오게 할 때"라고 주장했다.

미국 AP통신에 따르면 미국은 지난해 구리 약 96억달러(약 13조7500억원) 규모를 수입했고, 113억달러 가까이 수출했다. 네덜란드 금융그룹 ING에 따르면 미국은 구리 소비량의 45%를 수입하고 있으며 국가별로 가장 많이 수입하는 곳은 칠레(35%)였다.
또한 26%는 캐나다에서 수입한다. 관계자는 향후 전기차 및 인공지능(AI) 관련 수요를 감안하면 미국 내 수요가 공급을 넘어설 수 있다고 예상했다.
한국의 경우 지난해 미국에 5억7000만달러(약 8164억원) 상당의 구리 제품을 수출했으며 미국에서 4억2000만달러 규모를 수입했다.

pjw@fnnews.com 박종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