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이비슬 기자 = 지난해 서울 지하철 이용객들이 잃어버린 현금은 총 6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물건을 가장 많이 잃어버리는 역은 4호선 불암산역이었다. MZ세대 승객들이 인형으로 만든 키링을 잃어버리는 경우도 많아졌다. 반려동물을 잃어버렸다 되찾은 승객도 있었다.
서울교통공사는 27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지난해 서울 지하철 유실물 총 15만 2540건 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유실물 수는 2023년(14만 6944건)보다 늘었다. 지난해 하루 평균 유실물 건수는 약 418건으로 매일 이용객 61명 중 1명은 지하철에서 물건을 분실한 것으로 조사됐다.
유실물을 가장 많이 접수한 역은 4호선 불암산역(7391건), 5호선 방화역(5249건), 3호선 오금역(4345건) 순이다. 모두 각 호선 종착역으로, 유실물을 최종 확인하고 있어 수치가 높게 나타났다.
지난해 지하철에서 습득한 현금은 5억 6950만 원이었다. 이 가운데 4억 3950만 원(77.2%)은 주인에게 돌아갔다. 나머지 주인이 찾아가지 않은 현금 1억 3000만 원(22.8%)은 경찰에 인계했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유실물 품목 중 부동의 1위는 지갑이다. 그 뒤를 이어 휴대전화, 의류, 가방, 귀중품 순서로 많은 유실물이 발생했다.
지난해 접수한 전체 유실물 중 8만 6687건(56.8%)은 주인에게 인계했다. 나머지 4만 2521건(27.9%)은 경찰에 이관됐다. 2만 3332(15.3%)건은 아직 주인에게 돌려주지 못하고 보관 중이다.
유실물에도 트렌드가 반영된다. 공사는 "최근 MZ세대의 가방 꾸미기 열풍에 인형으로 만든 키링은 따로 보관할 정도로 많이 접수하는 유실물"이라며 "외국인 관광객이 많은 성수역 유실물에서는 '아이돌 포토카드'만 사라진다"고 말했다.
이색 물건들도 접수된다. 새, 파충류 같은 반려동물부터 금두꺼비, 방울 등 무속용품, 이발소 입간판도 등장했다. 공사는 파충류가 이동장에 담긴 채로 유실물센터에 접수돼 동물센터와 연계를 통해 인도를 도운 사례도 있었다고 밝혔다.
유실물 발생 시 컴퓨터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lost112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된다. 날짜와 물품 유형, 잃어버린 위치 등을 검색할 수 있으며 사진도 등록할 수 있다.
백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하루 700만 명의 승객이 이용하는 지하철에서 발생하는 승객 유실물들을 보면 그해 승객 행동과 사회 트렌드를 읽을 수 있다"며 "중요한 유실물은 반드시 주인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관리체계를 충실히 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