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대학원생 대상 '한국 교육의 특징과 문제' 특강
교수 포함 150여명 참석…AI 디지털 교육 등에 관심 보여
하버드대 강단 선 임태희 "대입 개혁해 과도한 입시경쟁 없애야"교육대학원생 대상 '한국 교육의 특징과 문제' 특강
교수 포함 150여명 참석…AI 디지털 교육 등에 관심 보여

(보스턴=연합뉴스) 최종호 기자 = "와우!"
26일(현지시간) 오후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캠브리지 하버드대 교육대학원 도서관의 강의실 강단 옆에 설치된 화면에 한국의 대학 진학률이 세계 최고 수준인 점을 나타낸 그래프가 뜨자 여기저기서 감탄사가 흘러나왔다.
이날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은 강단에 올라 하버드대 교육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국 교육의 특징과 문제 등에 대해 특강을 했다.
이번 특강은 지난해 경기도교육청이 교육부 등과 공동 개최한 '2024 유네스코 교육의 미래 국제포럼'에 참가했던 하버드대 측의 초청으로 이뤄졌다.
임 교육감은 자신의 이력과 경력을 소개하고 한국 교육의 특징과 문제점을 전달한 뒤 경기교육에 대해 알리는 순서로 강의를 진행했다.
그는 한국 교육의 특징으로 강한 교육열과 과도한 입시 경쟁을 꼽았다.
1950년대부터 초등교육 의무화로 교육 접근성이 좋아지면서 대학 진학률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 됐고, 더 나은 교육 환경을 위해 서울과 수도권으로 인구가 몰리는 현상을 소개했다.
이어 사회적 성공과 직결되는 대학 입시에 학생과 학부모가 극도로 몰입하는 모습을 전하고 이러한 한국 교육의 특징으로 인해 문제 해결 능력과 창의력 부족, 사교육 의존도 증가 등의 문제가 생겨났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경기교육이 인공지능(AI) 기반 맞춤형 교육이 가능한 교육 플랫폼인 '하이러닝'을 운영하고, 탐구·실행·성찰 중심으로 설계된 수업을 진행하는 국제바칼로레아(IB) 학교를 도입했으며 과도한 입시 경쟁을 없애기 위해 대학입시 제도의 개혁 추진에 나섰다고 알렸다.
강의실에는 대학원생과 교수, 학교 관계자 등 150여명이 모여 한국 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을 드러냈다.
30여분 간 강의 이후 진행된 질의응답 시간은 10여명이 질문을 쏟아내며 1시간 30분가량 이어졌다.
특히 하이러닝에 대해 깊은 관심을 보였다.
미국인 대학원생 맥스는 "AI를 교육에 접목하게 된 배경이 궁금하다"고 질문했고 남미에서 온 대학원생 라이티는 "하이러닝을 도입하기 전과 이후 교실의 변화는 무엇인가"라고 물었다.
인도네시아 출신 마일라는 하이러닝 시연을 요청하기도 했으며, 다른 학생은 AI 자체에 대한 교육을 어떻게 진행하고 있는지 궁금해했다.
일부 한국계 학생은 임 교육감이 추진 중인 대학입시 개혁이 성공적으로 이뤄질지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기도 했다.
이번 강연에 대해 참석자들은 만족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페르난도 레이머스 교수는 "지난해 유네스코 교육의 미래 국제포럼에 참석했을 당시 경기도에서 하이러닝을 비롯한 다양한 교육적인 시도가 이뤄지는 것을 보고 놀라웠고 이런 것들을 하버드와 공유하고 싶어서 임 교육감을 초청했다"며 "학생들, 교수들이 많은 관심을 보여 매우 만족한다"고 밝혔다.

미국인 대학원생 제이크 벨레코는 "스쿨리더십을 전공하고 있는데 지금 나에게 국제적인 면에서 배울 게 많은 강의라고 생각해 참석했다"며 "과학기술이 어떻게 교육에 쓰이고 있는지와 공유학교 등이 인상 깊었다"고 했다.
인도네시아 출신 크리스티는 "교육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학교, 공유학교, 온라인학교 등 3개 교육섹터로 나뉘어 제공되는 경기도교육청의 공교육이 흥미로웠다"며 "그런 방식을 통해 교육의 기회가 학생들에게 공정하게 주어지면 많은 이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임 교육감은 이달 25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3박 5일 일정으로 보스턴과 벨몬트를 방문 중이다.
전날 하버드대와 매사추세츠공과대(MIT) 한인학생회와 간담회를 했고 이날 특강에 이어 27일 벨몬트교육구 교육감과 만난 뒤 현지 학교를 둘러보고 귀국길에 오른다.
zorb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저작권자 ⓒ 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