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연합뉴스) 장덕종 기자 = 광주시가 무등시장 일대를 '차 없는 거리'로 운영한 결과, 방문객 유입과 매출 증가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광주시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5일∼11월 2일 매주 토요일 무등시장 차 없는 거리 운영 기간에 6만4천190여명(체류시간 20분 이상 기준)이 시장을 찾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 방문객 3만8천845명보다 65% 증가한 것이다.
운영 기간 방문객 수가 계속해서 늘었다.
10월 첫째 주 1만1천913명이던 방문객 수는 1만2천628명(둘째 주), 1만2천846명(셋째 주), 1만2천943명(넷째 주), 1만3천860명(11월 첫째 주)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인접한 전남 지역 주민 등 외지인의 방문도 이어졌다.
광주와 인접한 나주시(509명), 화순군(500명)에서 가장 많이 찾았으며, 여수(222명)와 목포(151명)에서도 방문했다.
연령별로는 50대(22.4%), 60대(21.9%), 40대(16.9%), 30대(13.2%), 20대(10.5%) 순으로, 전 연령대가 골고루 야시장을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차 없는 거리 기간에 열린 각종 공연과 체험행사, 워크온 걷기 챌린지 등이 방문객 유입을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지역 상권 활성화 효과도 있었다.
이 기간 무등시장 일대 매출이 10억1천100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7억9천400만원)보다 2억1천700만원(27.4%) 증가했다.
이 가운데 요식업이 총 5억3천100만원으로 전체 매출의 52.5%를 차지했으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억2천400만원 늘었다.
시는 '대자보(대중교통·자전거·보행 중심) 도시' 실현을 위해 5개 자치구와 함께 금남로, 풍암동 소통 테마길, 백운광장, 전남대학교 후문 대학로, 송정역 시장에서도 차 없는 거리를 운영할 계획이다.
박혜미 시 데이터정보화담당관은 "차 없는 거리 운영에 대한 효과를 지속 분석해 광주시 보행 중심의 공간 확대와 지역 상권 활성화 및 도시 이용인구 증대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cbebop@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저작권자 ⓒ 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