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트럼프 '구리 관세' 검토...韓전선업계 매출 호재 기대

홍요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3.02 14:49

수정 2025.03.02 15:10

전선업계, 구리값 오르면 '가격 전가'...매출 상승 기대
제련업계, 美 수출 물량 없지만 '가격 변동성' 주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 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회담한 후 열린 공동 기자회견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 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회담한 후 열린 공동 기자회견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시스

[파이낸셜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구리 수입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시사하면서 대표 수출 품목인 전선의 경우 높아진 구리 가격을 제품가에 전가할 수 있어 오히려 반사이익을 누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구리 수입에 따른 국가 안보 위협 대처'라는 제목의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구리 가격이 폭등했다.

런던금속거래소(LME)에 따르면 지난해 t당 9144달러였던 구리 가격은, 트럼프의 관세 부과 전망에 따라 지난 25일 기준 t당 9463달러 수준까지 올라선 상황이다.

이에 구리를 주 원료로 쓰는 전선업계의 경우 높아진 구리 가격을 가격에 전가할 수 있어 오히려 매출이 늘어나는 반사이익을 누릴 것으로 보인다. 전선업체는 판매 가격에 원자재 가격 상승분을 반영하는 '에스컬레이션(물가 변동과 계약 금액을 연동) 규정'에 따라 계약하고 있다.



특히 LS전선의 경우 현지 공장 착공을 앞두고 있어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 LS전선은 버지니아주에 미국 최대 규모의 해저케이블 공장을 올해 착공해 2027년 준공할 예정이다. 투자 규모는 약 1조원 가량이다.

아울러 LS MnM과 고려아연 등 구리를 제련하는 국내 업체들의 경우, 미국에 수출하는 물량이 없어 직접적인 수출 규제의 영향을 피해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가격 변동성에 대한 불확실성 우려는 커질 전망이다. 미국의 관세 조치로 구리 가격의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국내의 구리 수급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실제로 구리의 가격은 '수급 불균형'으로 지난 2년간 오름세를 보여 왔다. 지난 2023년 기준 구리의 연평균 가격은 t당 8430달러, 지난해 9144달러를 기록한 바 있다.

지난 몇 년간 구리는 공급이 제한됐지만, 수요는 증가해왔다.
구리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전기차 등으로 쓰임새가 확대된 반면, 세계 최대 구리 생산국인 남미 칠레의 지난 2023년 생산량이 2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공급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호주와 콩고 등에서도 구리 광산이 폐쇄되거나 생산량이 축소됐다.


업계 관계자는 "구리에 대한 관세가 부과된다면 단기적으로 숏티지가 발생할 수 있다"며 "이미 구리 가격이 높아진 상황에서 공급 안정성이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yon@fnnews.com 홍요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