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김일창 기자 =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둔 당내 통합을 위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비이재명(비명)계 연쇄 회동이 막바지에 다다랐다. 이 대표는 비명계와의 대통합에 공감을 이루면서 성과를 냈지만, 헌법 개정(개헌)을 두고 이견을 드러내면서 숙제를 남겨 뒀다.
이 대표는 27일 임종석 전 대통령비서실장과 오찬을 함께 했다. 지난 13일 김경수 전 경남지사와 21일 박용진 전 의원, 24일 김부겸 전 국무총리에 이은 네 번째 비명계 인사와의 회동이다. 남은 인사는 김동연 경기지사로, 두 사람은 28일 만난다.
이 대표의 비명계 끌어안기는 애초부터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지난 2022년 제20대 대선에서 이 대표는 47.93%의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음에도 윤석열 후보에게 0.73%포인트(p) 차이로 졌다. 1987년 대통령 직선제 개헌 이후 최소 격차다.
'2.37%'의 득표율을 기록한 심상정 정의당 후보와 단일화만 이뤘어도 결과는 다를 수 있었다는 말은 지금도 야권 인사들 사이에서 오르내린다.
이런 과거의 기억은 통합뿐 아니라 우클릭 행보 등 이 대표를 중원으로 향하게 하는 핵심 원동력이다.
정치권 일각과 국민들 사이에서 '우클릭'에 대한 진정성을 의심받는 것과 달리 이 대표의 통합 행보는 큰 잡음 없이 흘러가는 분위기이다. 이 대표의 일극체제를 비판하면서도 이 대표 외 다른 대안이 없는 현실, 헌정사상 처음으로 5년 만에 정권을 내준 악몽이 비명계를 감싸고 있는 점이 양측을 뭉치게 했다.
하지만 개헌을 두고 양측의 입장 차이가 뚜렷한 것은 이 대표로서는 적잖은 부담이다. 김경수, 박용진, 김부겸, 임종석 네 사람은 하나같이 개헌에 관한 전향적인 입장을 이 대표에게 촉구하고 있다.
이 대표는 일관되게 "지금은 내란 극복이 우선"이라며 반대의 뜻을 명확히 했지만 개헌 논의를 계속 외면하는 것도 쉽지 않다는 게 정치권의 전망이다.
탄핵 심판을 받는 윤석열 대통령이 최종변론에서 개헌을 언급했고, 여야를 막론한 전직 국회의장과 국무총리, 당 대표 등 정치원로들, 국민의힘 등 이 대표를 둘러싼 모든 곳에서 개헌에 관한 결단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조기 대선 국면이 열리면 이 대표는 비명계 인사들을 적극적으로 선대위에 합류시키는 것으로 분위기 반전을 꾀할 것으로 보인다. 선거가 다가올수록 박빙의 승부가 예측되기에 "지금은 내란극복이 우선"이라는 이 대표의 말에 힘이 더 실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 대표도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며 네 사람을 중용할 뜻을 비치기도 했다.
이날 발표된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의 2월 4주차 NBS 조사에서 조기 대선이 열릴 경우 국민의힘 후보를 뽑겠단 비율은 35%, 민주당 후보를 뽑겠단 비율은 37%로 조사됐다. (24일부터 26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 대상,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같은 조사에서 이 대표의 지지율은 31%로 여권 1위인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을 18%p 앞섰지만, 여권 후보가 확정되면 실제 대선에선 1 대 1 싸움이기 때문에 누구도 낙승을 장담할 수 없다. 오세훈 서울시장과 홍준표 대구시장, 한동훈 전 대표까지 여권 네 사람의 지지율 합은 현재 30%이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