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아연-공기전지 성능·내구성 획기적 향상 촉매 시스템 개발

연합뉴스

입력 2025.02.27 16:22

수정 2025.02.27 16:22

충남대·건국대 공동 연구팀, 국제 학술지 표지 논문 게재
아연-공기전지 성능·내구성 획기적 향상 촉매 시스템 개발
충남대·건국대 공동 연구팀, 국제 학술지 표지 논문 게재

연구 개략도 및 공동 연구팀 (출처=연합뉴스)
연구 개략도 및 공동 연구팀 (출처=연합뉴스)


(대전=연합뉴스) 정찬욱 기자 = 충남대는 유기재료공학과 진형민 교수와 건국대 정지원 교수팀이 차세대 전지 기술인 아연-공기전지(Zn-air battery) 성능과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할 수 있는 촉매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공동 연구팀은 촉매 입자의 분산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합성 방법을 도입해 아연-공기전지의 핵심인 산소 발생 반응(OER) 효율과 장기 안정성을 크게 높였다.

이리듐(Ir)을 비롯한 다양한 금속 나노입자들을 안정적으로 분산시키는 기술을 개발, 기존 촉매보다 우수한 촉매 활성과 안정성을 구현했다.

연구팀은 아연-공기전지 산소 발생 반응에서 기존 상용 촉매(Ir/C)와 비교해 매우 뛰어난 안정성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100 사이클 이상의 테스트를 한 결과, 장기간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고가 귀금속인 이리듐을 최소한만 사용해 비용 절감과 효율 증대를 동시에 꾀했다.

진형민 교수는 "아연-공기전지뿐만 아니라 연료전지, 금속-공기전지, 그린수소촉매 등 다양한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 및 변환 장치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물질 화학 저널(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A' 1월호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jchu2000@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