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선거 의혹 조사해야" vs "궤변 불과" 맞서
1시간 간격 2차례 맞불집회…물리적 충돌은 없어
'5·18항쟁 발원지' 전남대서 尹 탄핵 찬반 집회(종합)"부정선거 의혹 조사해야" vs "궤변 불과" 맞서
1시간 간격 2차례 맞불집회…물리적 충돌은 없어

(광주=연합뉴스) 김혜인 기자 = 1980년 5·18민주화운동의 발원지인 전남대학교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찬반 집회가 동시에 열렸다.
1시간 간격을 두고 열린 맞불 집회 현장에서 윤 대통령이 제기한 부정선거 의혹을 조사해야 한다는 입장과 계엄을 정당화하는 궤변에 불과하다는 의견이 맞섰다.
전남대 총학생회 등 9개 단체는 27일 광주 북구 용봉동 전남대 후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내란 옹호 세력들은 더 이상 광주와 민족 전남대를 훼손하지 말라"고 주장했다.
참석자들은 '윤석열 즉각 탄핵' 팻말을 들어 올리고 '내란 정당 국민의힘'이라고 적힌 종이를 찢는 퍼포먼스를 펼치기도 했다.
이들은 "3·1절을 앞두고 내란 세력들이 조상들의 피 흘린 독립투쟁까지도 윤석열을 비호하고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도구로 이용하기 위해 광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부정선거 논리는 반헌법적 반민주적 궤변에 불과하며, 윤석열과 내란을 옹호하는 세력들이 계엄을 정당화하고 싶은 궁색한 말일 뿐이다"고 말했다.
이어 "전남대 구성원들은 반민주적인 불법 세력들로 인해 전남대가 훼손되지 않도록 한마음으로 뜻을 모아 우리의 힘으로 전남대 민주주의의 역사를 지키겠다"고 외쳤다.
재학생들도 "광주 시민들이 윤석열의 12·3 계엄에 더욱 분노할 수밖에 없는 것은 우리에게 5·18은 끝나지 못한 역사기 때문이다"라며 "전남대에서 일어나는 내란 옹호 행위에 침묵할 수 없다"고 했다.

탄핵 반대 집회 시간이 가까워지자 교문을 사이에 두고 보수 단체 회원들의 고성과 집회 차량 소리가 커졌다.
앞서 전남대가 부정선거 조사를 촉구하는 집회 참석자들의 학내 진입을 금지해 이들은 후문 앞에 모였다.
참석자 40여명은 태극기와 성조기를 들면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비판 발언을 이어갔다.
한 보수 유튜버는 집회 차량 위에 올라서서 "야당 지도부가 정권을 잡아서는 안 된다"며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막아 민주당을 몰아내야 한다"고 외쳤다.
이어 이날 전남대 재학생과 졸업생 등 17명은 후문 앞에서 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의 부정선거 의혹을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며 시국선언을 발표했다.
전남대 자율전공학부에 재학 중인 박지원씨는 "현재 대한민국은 대통령의 자리가 부재하며 진보와 보수의 단순한 정치 대립을 넘어서 국가 안보 자체가 위협받는 심각한 상황에 놓여있다"며 "국회는 계엄 이후 공수처에 불법적인 체포 영장까지 발부하도록 해 무차별적, 비정상적 탄핵 사태를 주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12·3 비상계엄 이후 우리의 자유 민주주의를 침해하는 여러 문제 중 탄핵 심판 과정에서 제출된 부정선거 의혹에 대해 검증해야 한다"며 "현재 선관위의 전자개표기 및 사전투표 시스템, 중국의 개입 및 부정선거 시도와 관련된 모든 의혹을 철저히 조사할 것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이에 맞서 전남대 구성원 9개 단체도 맞불 기자회견을 다시 열어 윤 대통령 파면을 재차 강조했다.
참석자의 발언과 구호가 점점 커지면서 긴장감이 고조됐지만 이날 경찰이 2개 중대 인력을 투입해 집회 현장을 분리하면서 물리적 마찰이나 충돌 없이 마무리됐다.
한편 28일 예정된 조선대학교 탄핵반대 시국선언은 내부 사정으로 인해 열리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i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저작권자 ⓒ 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