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남=뉴스1) 박민석 기자 = 제106회 삼일절을 맞아 경남 출신 독립운동가 18명이 서훈을 받게됐다.
경남도는 삼일절 기념 전국 독립유공자 포상자 96명 중 18명이 경남 출신이라고 밝혔다.
도는 지난해 11월 순국선열의 날 포상에 이어 올해 삼일절에도 전국 최다 인원이 포상을 받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포상 대상자를 보면 1930년 서울에서 학생 비밀결사로 활동하다 체포돼 복역한 고 박현주 선생(고성)과 고 홍종언 선생(마산)은 독립운동에 기여한 공적이 인정돼 건국훈장 애족장을 받게 됐다.
1919년 3월 진주만세운동에 참여한 고 천명옥 선생(진주)과 양산만세운동에 참여한 고 전병한 선생(양산)은 건국포장을 받는다.
해외독립운동가로는 일본 히로시마로 징용돼 한국인 노동자에 대한 부당행위를 저지하는 시위를 벌인 고 전병열 선생(의령)과 만주에서 정의부와 농민동맹 간부로 활동한 윤구환 선생(합천)은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됐다.
특히 이번 삼일절 포상에는 양산농민조합사건에 참여해 일제에 항거한 10명의 독립운동가가 함께 포상을 받게 됐다.
10명 중 9명은 경남도가 직접 서훈을 신청해 전원 추서됐다.
이들 유공자는 1932년 양산에서 소작료 인하 시위를 벌이다 일본 경찰이 농민조합 간부를 체포한 것에 항의해 유치장을 습격하는 등 시위를 이어가다 체포됐다.
고 윤수만 선생(양산)은 건국훈장 애족장, 고 양명호 선생(양산) 외 8명은 대통령 표창을 받게 됐다.
도는 도내 미서훈 독립운동가의 희생에 보답하기 위해 도가 직접 서훈 신청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간 발굴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2023년 24명 서훈 신청을 시작으로 지난해 12월까지 76명의 독립운동가의 서훈 신청을 마쳤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