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거리 중심 소비자물가 상승
환율관리 및 꼼수 인상 막아야
환율관리 및 꼼수 인상 막아야

물가 걱정은 아무리 해도 부족하지 않다. 물가가 뛰기 시작하면 경제 안정과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투입비용이 어마어마하기 때문이다. 최근 물가는 1%대 후반 안정 기미를 보인다. 그럼에도 2%대를 뚫고 상승할 압력요인이 적지 않다.
오는 6일 발표되는 2월 소비자물가동향이 주목받는 이유다.
실제로 식품과 외식업계를 중심으로 물가인상이 줄줄이 이어지고 있다. 먹거리 가격이 오르면 소비자의 장바구니 물가 부담으로 이어진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가 최근 관련 업계를 대상으로 물가안정 기조에 동참해달라고 협조를 요청한 바 있다. 그럼에도 식품·외식업계의 가격인상 움직임을 누그러뜨리기엔 역부족으로 보인다.
물가를 끌어올리는 요인들 가운데 지난해 말부터 급등한 환율 영향이 크다.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면 수입단가 역시 높아진다. 상당한 양의 식재료를 해외에서 수입하는 국내 식품·외식기업은 환율이 오를수록 원가 압박이 커질 수밖에 없다.
실제로 환율이 국내 물가에 미치는 영향력은 갈수록 커질 것이다. 한국은행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치솟은 환율이 올해 하반기까지 국내 물가를 끌어올릴 것으로 분석됐다. 환율이 높아지면 수입단가 역시 상승하는데, 이런 환율 변동에 따른 영향이 소비자물가에 실제 반영되는 시점은 9개월이 지나 최대치를 기록한다는 것이다. 더욱 주목할 점은 환율이 조만간 하락 안정화되더라도 하반기 물가상승에 미치는 영향은 변치 않는다는 점이다. 지난해 말부터 급등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고환율이 조만간 완화돼도 하반기의 물가 압력은 여전하다는 뜻이다.
물가를 놓치게 되면 우리 경제는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상승)의 늪에 빠지게 될 것이다. 1%대 저성장 우려가 큰 가운데 물가상승만큼은 반드시 막아야 하는 이유다. 기업들에 가격인상을 자제하라고 압박하는 건 한계가 있다. 정부가 구두개입에 나서 일시적인 물가통제의 효과를 거둘 순 있지만 손해를 감내하며 가격 조정을 미루는 기업은 없다. 그렇다면 지금 정부가 최선을 다해야 하는 부분은 환율 등 거시경제 환경을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다. 환율의 급변동성을 관리해 리스크를 조절하는 게 기업과 소비자가 물가의 딜레마에 빠지지 않을 수 있는 길이다.
그렇다고 기업의 물가인상 움직임을 그냥 방치하라는 건 아니다. 수입단가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이 가격을 올리자 이 틈을 타서 인상 대열에 편승하는 기업도 있을 것이다. 이런 꼼수 가격인상을 꾀하는 기업들은 솎아내야 한다. 가격인상 대열에 편승하는 흐름을 그대로 뒀다간 심각한 물가대란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