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대통령은 일관되게 미국 국민에게 가장 저렴한 전기와 에너지를 공급하여 인플레이션에서 해방시켜주겠다고 공헌해 왔다. 연이어서 에너지 인플레이션 해방과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행정명령으로 선언했다.
AI 경쟁에 있어서도 중국 딥시크의 등장은 충격이었으며, 낮은 투자비로 높은 효율을 달성했다는 점에서 위기감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미국은 2030년까지 55GW의 천연가스 발전소를 더 건설할 계획이고, 2035년까지는 85GW까지 천연가스 발전소를 대도시 근방에 건설해 AI 데이터센터에 전기를 공급할 계획이다. 미국이 치열한 AI 경쟁을 승리로 이끌기 위한 준비를 시작한 것이다.
AI가 경제성장의 성패를 결정하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AI 반도체 칩을 초고도로 집적하고 병렬 연결해 연산처리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여 방대한 자료를 순식간에 분석할 수 있게 됐다. 더 나아가 최근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젠슨 황은 물리적 AI가 로봇, 자동화설비와 접목되면서 노동에서 사회로 진화하고 있다고 했다. 그런데 AI는 대규모 연산에서 전기를 사용하고 이 과정에서 발열이 일어나고 냉각 과정에서 전기를 다량 소비한다. AI에서 뒤떨어지지 않기 위해서는 전기를 저렴하게 24시간 365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전기의 특성은 과다공급도, 과소공급도 모두 정전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60㎐ 주파수를 맞추고 안정적 전압을 맞춰야 하는 점이다. 간헐적 자원으로는 AI 반도체 공장도 AI 데이터센터도 돌릴 수 없다. 지리적으로 국한된 자원들이 수도권에 올라올 때까지 송전망 건설을 무작정 기다릴 수도 없다.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전력원만이 그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AI와 매칭되는 근거리 발전소가 필요하다.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는 단기간에 건설이 가능하고 전국 환상망을 통한 천연가스 공급이 가능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다수의 LNG 발전을 통한 전력공급을 고려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다. 또한 미국의 통상 압력에 대한 레버리지로 미국산 LNG 구매라는 달콤한 제안을 통해 우리가 얻고자 하는 방위비 협상이나 원자력협정 개정 등을 이끌어 낼 수도 있다. 자원도 없는 현실에서 LNG 해외자원개발은 절대로 놓지 말아야 한다.
국내 포스코인터내셔널 등 기업들은 미국 LNG 도입에 발빠르게 대처하고 있어서 정부와 공기업도 에너지 확보에 함께 나서야 할 때이다. 인구도 줄어들 위기의 상황에서 AI를 통해 생산성을 끌어올리지 못하면 한국 경제는 미래가 없을 것이다. 이제 미래 세대에게 AI 인프라 투자와 안정적 전력공급으로 새로운 경제성장 동력을 물려주기 위한 현실적이고 균형 있는 에너지 정책만이 살길이다.
조홍종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