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최근 미국의 철강 관세 조치를 비롯해 철강산업의 대내외 리스크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이달 내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안 장관은 13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철강업계 간담회를 갖고 미국 관세 관련 이 같은 대응 방향을 공유했다. 해당 자리에는 주요 철강기업 CEO와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미국은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2018년부터 모든 철강 수입에 25% 관세를 부과했으나 우리나라는 연 263만톤 내에서 면제를 받아왔다. 다만 전날 오후 1시부로 이같은 예외조치가 폐지되면서 한국산 수출 물량도 전세계와 동일하게 25% 관세를 부과 받는다.
안 장관은 정부와 업계가 원팀으로 대응해 나가자는 취지로 마련된 이번 간담회에서 최근 방미 결과를 공유하고 현재 방미 중인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을 비롯 고위급 교류를 통해 총력 대응할 것임을 밝혔다.
안 장관은 위기 돌파를 위한 정책 방향을 공유하며 "불공정 무역 시도가 더욱 빈번해질 것이 우려되고 있어 정부는 이에 단호히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불공정 수입에 대해 우회덤핑, 수입재 모니터링 등 통상 방어기능 강화를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업계 차원의 노력도 당부했다. 안 장관은 "높은 불확실성을 상수로 보고 고부가제품 중심 투자 및 수출 전략을 전향적으로 검토해달라"며 "정부도 이러한 방향에 초점을 맞춰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확인된 업계 의견을 종합해 3월 중 철강 통상과 불공정 수입 대응 방안에 반영할 방침이다.
leeyb@fnnews.com 이유범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