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공동주택 평균 3.65% 상승
종부세 대상 1주택 31만명 전망
종부세 대상 1주택 31만명 전망
![강남에 공시價 200억 넘는 아파트 등장[공시가 급등, 보유세도 뛴다]](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3/13/202503131825473988_l.jpg)
13일 국토교통부는 올해 1월 1일 기준으로 조사·산정한 전국 공동주택(아파트·다세대·연립주택) 1558만가구의 공시가격을 공개했다. 올해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지난해 대비 평균 3.65%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공시가격이 7.86%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 25개 자치구의 공시가격이 모두 오른 가운데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성동·용산구의 상승률은 10% 이상으로 높았다. 이어 경기(3.16%), 인천(2.51%), 전북(2.24%) 순이었다.
전국에서 공시가격이 가장 높은 단지는 서울 강남구 청담동 에테르노청담 전용면적 464.11㎡로 200억6000만원이었다. 2위 청담동 더펜트하우스청담 407.71㎡(172억1000만원)보다 30억원가량 높았다.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200억원을 넘은 첫 단지다. 올해 공시가격이 30억원을 웃돈 가구는 2만2512곳으로 전체 공동주택의 0.1% 수준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시가 1억원 이하 가구는 451만7656곳으로 29%를 차지했다.
이런 가운데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를 합친 보유세 부담은 서울과 수도권 등 상승지를 중심으로 올라갈 전망이다. 서울 서초구 반포동 원베일리 84㎡는 보유세가 1820만원으로 전년보다 480만원(35.9%) 오르고,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신현대9차 111㎡도 1848만원으로 예상돼 전년보다 보유세가 520만원(39.2%) 상승한다는 분석이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