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박승희 기자 = 증시 변동성이 커진 가운데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상품군별 성과가 뚜렷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관계자들은 향후 투자자들의 전략적 선택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13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2025년 2월 말 기준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데이터 분석한 결과, 1개월 및 1년 운용수익률이 리스크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고위험군 상품 중 최근 1년 수익률(지난달 기준)은 '한국투자증권 디폴트옵션 고위험 BF1'이 29.95%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삼성생명 디폴트옵션 고위험TDF1(19.50%)’, ‘우리투자증권 고위험 TDF2(19.50%)’, ‘KB국민은행 디폴트옵션 고위험 포트폴리오1(19.17%)’ 등이 뒤를 이었다.
다만 고위험군 상품은 변동 장세에 취약했다. 최근 트럼프 정부의 관세 부과 정책과 미국 경제 침체 우려로 국내외 증시가 큰 변동성을 보인 바 있다. 이에 올해 1월 말부터 지난달 말까지 한 달간 한국투자증권 디폴트옵션 고위험 BF1 펀드의 1년 수익률은 4.21%포인트 하락했다. 나머지 고위험군별 상품 등도 4%포인트 안팎 하락률을 기록했다.
중위험군과 저위험군 상품은 고위험군 상품 대비 수익률은 저조했으나 안정성 측면에선 주목할 만한 성과를 냈다.
중위험군 상품 중 1년 수익률 기준 ‘한국투자증권 디폴트옵션 중위험 포트폴리오2’가 20.13%로 1위를 차지했고, 최근 한 달간 낙폭도 0.41%포인트에 그쳤다. ‘삼성생명 디폴트옵션 중위험 BF2한화생명 디폴트옵션 중위험 BF1’와 ‘삼성생명 디폴트옵션 중위험 포트폴리오1’는 같은 기간 각각 3.10%포인트와 2.43%포인트의 낙폭을 기록했다.
저위험군 상위 5개 상품은 1개월 수익률 0.93%포인트를 기록했고 1년 기준으로는 -2.53%포인트~0.79%포인트를 기록했다. 안정성이 가장 높은 초저위험군 수익률 상위 5개 상품은 최근 1년간 0.01%포인트 상승했다. 1개월 기준으로는 모두 0.03% 내렸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