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테슬라는 미국 무역대표부(USTR) 제이미슨 그리어 대표에게 11일 보낸 서한에서 공정 무역을 "지지"하지만 "다른 국가가 미국의 무역 조치에 대응할 때 전기차 업체 같은 미국 수출업체가 불균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테슬라는 "예를 들어, 미국이 과거에 취한 무역 조치는 대상 국가의 즉각적인 반응을 초래했으며, 여기에는 해당 국가로 수입되는 전기 자동차에 대한 관세 인상도 포함됐다"고 과거 사례를 들기도 했다.
FT는 "이 편지가 트럼프의 가까운 동맹인 머스크가 이끄는 테슬라조차도 무차별적인 관세의 영향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썼다.
독특한 점은 이 편지에 서명이 없다는 점이다. 관계자는 이에 대해서 "아무도 편지를 보냈다는 이유로 회사에서 해고당하기를 원하지 않기 때문에 서명이 없다"고 밝혔다.
서한은 또한 리튬과 코발트 등 미국에서 공급이 부족한 광물을 수입하는 데 기업들이 관세 인상 등으로 더 큰 비용을 쓰지 않도록 해달라고 촉구했다. 테슬라는 전기차와 배터리를 위해 가능한 한 많은 소재와 부품을 미국에서 찾기 위해 노력 중이지만 완전한 미국 내 조달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테슬라는 전기차 업체가 광물이나 부품 등의 필수 구성요소에 대한 '비용금지관세'(cost-prohibitive tariff)로 인해 부당한 부담을 지게 될 수 있고 우려했다. 비용금지관세는 수입에 대한 세금이 너무 높아서 무역 자체가 이뤄질 수 없는 수준의 관세를 말한다.
테슬라는 CEO인 일론 머스크가 정부효율부(DOGE) 수장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실세로 떠오른 이후 판매량이나 주가 등에서 직격탄을 맞고 있다. 이 때문에 이번 주 초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테슬라를 홍보하는 행사를 주최했고 머스크에 대한 지지를 보여주기 위해 테슬라 차량 한 대를 직접 구매하기도 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