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이설 기자 = '자립준비청년'의 첫출발을 지원하기 위해 서울시와 국내 주요 기업들이 힘을 모은다. 자립준비청년은 아동양육시설이나 위탁가정의 보호를 받다가 만18세(보호 연장 시 24세)가 돼 시설에서 나와 홀로서기를 해야 하는 청년들을 말한다.
서울시는 5년의 자립 준비 기간이 끝났지만, 여전히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자립청년이 긴급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기업 후원을 통해 SOS자금을 마련해 지원한다고 14일 밝혔다.
시는 4개 기업·단체(고려아연, 구세군, 기아대책, 한화손해보험)와 총 6억1000만 원 규모로 SOS자금을 첫 조성하고, 향후 지속적인 기업 참여를 통해 SOS자금 조성‧지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서울시는 자립준비청년의 경제적 자립을 위해 삼성전자, CJ나눔재단, SK행복에프엔씨재단과 취업 지원에도 나선다.
오세훈 시장은 이날 오전 8개 기업‧기관 대표와 자립준비청년 꿈과 첫출발에 동행하는 민관협력 구축 협약을 체결한다.
이날 협약식에는 고려아연 정무경 사장, 구세군 김병윤 사령관, 기아대책 최창남 회장, 삼성전자 박승희 사장, CJ나눔재단 임상엽 CJ주식회사 ESG경영추진 단장, SK행복에프앤씨재단안범환 이사장, 한국여성변호사회 왕미양 회장, 한화손해보험 한정선 부사장이 참석한다.
협약에 따라 △고려아연, 구세군, 기아대책, 한화손해보험 등 4개 사는 자립청년을 위한 SOS자금 조성‧지원 △삼성전자, CJ나눔재단, SK행복에프앤씨재단은 취업교육 및 일자리 연계 △한국여성변호사회는 노무, 신용회복을 위한 채무조정 등 법률지원에 각각 나선다. 서울시는 협약기관이 참여하는 민관협의체를 운영하고, 원활한 추진을 위해 행정적으로 지원한다.
한편 서울시는 자립청년을 위해 올해 총 181억 원을 투입해 △꿈 찾고 키우기 △자립역량 기르기 △든든한 첫출발하기 △지역사회 함께하기 등 4개 과제 23개 사업을 중점 추진한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