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뉴스1) 김유승 기자 = 정부는 14일 최근 우리 경제 상황에 대해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 부문을 중심으로 고용애로가 지속되고 있다"며 "대내외 불확실성이 확대되며 수출 증가세 둔화, 경제심리 위축 등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기획재정부는 14일 '2025년 3월 최근경제동향'(그린북)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앞서 기재부는 지난달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 부문 중심 고용 애로가 지속되는 가운데,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경제심리 위축 등으로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한 바 있다.
이달 표현도 대체로 이와 유사하지만 '대내외 불확실성이 확대에 따른 수출 증가세 둔화' 표현이 추가됐다. 국내에서 탄핵정국 여파가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 영향이 구체화하는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기재부는 최근 글로벌 경제 상황에 대해 "지정학적 리스크가 지속되는 가운데, 주요국 관세부과 현실화 등 통상환경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기재부는 지난 1월부터 석 달째 '경기 하방 압력 증가' 표현을 이어오고 있다.
지난 1월 산업활동동향 주요 지표는 광공업 생산 및 서비스업 생산, 소매판매, 설비투자 및 건설투자 모두 감소했다.
광공업 생산은 전월 대비 2.3%, 서비스업 생산은 0.8%, 건설업은 4.3% 감소하며 전(全) 산업 생산이 2.7% 줄었다.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6%, 설비투자는 14.2%, 건설투자는 4.3% 감소했다.
지난 2월 수출은 조업일수 증가 등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1.0% 증가했으나, 일평균 수출액은 23억 9000만 달러로 5.9% 감소했다.
올 2월 취업자는 전년 동월 대비 13만 6000명 증가했다. 실업률은 3.2%로 전년 동월과 같았다.
2월 소비자물가는 석유류 가격 상승세 둔화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2.0% 상승했다. 식료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8% 올랐다.
기재부는 "일자리·건설·소상공인·서민금융 등 1분기 민생·경제 대응 플랜 주요 정책 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추가 지원 방안을 지속 강구하겠다"며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 피해 지원 강화, 첨단전략산업기금 신설 등 통상환경 불확실성 대응과 수출 지원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